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문제의 제기
2.통계표의 의미
3.근대 과학기술의 순환가속기제
4.근대 과학기술구조
5.중국 전통 과학기술의 특징
6.원시과학구조와 그 사회화
7.사회화의 지름길: 패러다임 기능
8.패러다임 기능의 한계: 원시과학구조 사회화의 장애
9.문명 내에서의 과학의 확산: 스콜라철학과 대통일 기술의 영향
10.부정성의 확대: 과학사회화의 특수 기제
11.상호보완 함정
12.위대한 실험과 사회화의 장애

본문내용

서구의 과학기술에 힘입은 것이다. 서광계의 노력은 근대과학구조를 중국에 도입하고자 한 위대한 시도였다. 그리고 이 시도가 좌절된 원인이 바로 근대과학구조가 중국에서 직면했던 사회화의 전형적 장애요인이었다. 그리고 그 장애 요인 가운데 가장 큰 것은 바로 상호보완 함정이었는데, 당시 유심주의적 양명학이 전 중국을 풍미하고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유생들이 양명학에서의 탈출구로 찾았던 선종(禪宗)이 바로 상호보완 함정이었다. 결국 중국 역사에 나타났던 네 번의 전환기는 모두 충분한 여건을 구비하지 못함으로 말미암아 요절하고 말았다. 과학의 발전과 사회구조는 밀접한 내적 연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중국의 봉건적 사회구조를 고치지 않는 한, 근대과학의 수립을 위한 조건을 구비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하겠다.
이 책을 접하기 전부터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에 대해 항상 의문이 있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중국의 우수한 과학문물을 많이 수용하여 놀라운 발전을 해 온 반면, 중국은 그 화려한 역사에 비해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과학기술의 순수 증가 추세는 왕조의 중앙집권화와 기술 증가 그리고 상품경제의 발달이 서로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총 네 번의 전환기를 맞이하였고, 특히 당송 시기의 과학기술은 나름 최고봉에 도달했지만, 봉건적 사회제도라는 큰 장애물로 인해 근대과학으로의 발전은 좌절되었다. 만약 중국의 전통과학이 근대과학으로 발전했다면,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진정한 거대국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3.17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7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