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민참여예산제도
1. 참여예산제도의 의의
2. 한국정부에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도입과 확산
1. 참여예산제도의 의의
2. 한국정부에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도입과 확산
본문내용
재정법에 근거하지 않은 조례 제정을 통해 그 자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재정지방재정법에 따른 조례안의 개정을 기준으로, 2006년 3월 5개 기초자치단체만이 선택하고 있었으나, 2010년에는 83개 기초자치단체로 36%가, 2013년 3월에는 88.5%가 채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3). 조례가 미비되어있다 하더라도 나머지 28개(11.5%) 중 26개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위원회와 같은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는 그 확산이 포화상태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정책의 조례 제정 시기를 기준으로 볼 때, 2011년에 급격한 도입 증가가 이뤄졌는데, 이는 9월 주민참여예산제의 의무화 공시에 대한 것으로 11년 도입 지자체 대부분이 3~4/4분기에 관련 조례를 제정함을 통해 알 수 있다.
추천자료
자본예산제도에 대해서
자본예산제도에 대해서
예산제도와 기획
조직이론과 예산제도의 변천
[회계개혁][회계개혁이론][회계제도개혁]외국의 회계개혁 사례를 통해 본 우리나라 회계개혁 ...
[예산이론] 성과주의 예산제도
[근대사회][근대사][근대]근대시기(근대사회, 근대화)의 의복과 가르손느복식, 근대시기(근대...
성과주의 예산제도 사례분석(중앙정부+지방정부)PPT
의사결정 유형 및 과정, 의사결정 기법-계획예산제도(PPBS), MBO
학교교육(공교육) 정의, 학교교육(공교육) 다양화, 학교교육(공교육) 개혁, 학교교육(공교육)...
예산개혁) 예산개혁의 의의와 성과주의 예산제도, 계획예산제도, 목표관리, 영기준예산, 자본...
자본예산제도
사회복지 행정론- 예산제도,예산관리의 목적,예산수립의 성격,예산의 원칙,공개성,명료성,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