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발달] 발달연구(Developmental Study)의 접근법 및 윤리 - 발달연구의 접근법(종단적 연구, 횡단적 연구, 계열적 연구) 및 발달연구의 윤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발달] 발달연구(Developmental Study)의 접근법 및 윤리 - 발달연구의 접근법(종단적 연구, 횡단적 연구, 계열적 연구) 및 발달연구의 윤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달연구의 접근법
 1) 종단적 연구
 2) 횡단적 연구
 3) 계열적 연구

2. 발달연구의 윤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어야 한다. 발달연구는 특히 아동들을 대상으로 할 경우가 많아서 연구의 윤리가 더욱 강조된다. 연구를 할 경우, 연구자는 연구대상의 심리 상태와 생활의 불편함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기준을 갖고 있어야 한다. 또 피해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 또한 미리 가정하고 준비해야한다.
연구윤리는 미국심리학회의 발달심리분과회(1968)에 잘 제시되어 있는데,연구대상이 되는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고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입을지도 모를 위해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윤리지침을 발표하였다. 다음은 아동발달연구회에서 제시한「아동연구를~위한윤리기준(Ethical Standards for Research with Children)」22개 중 장휘숙 등(2005)이 요약한 윤리지침을 살펴보기로 한다.
연구자는 아동 스스로 연구에 참여하거나 참여를 거부할 자유를 보장해 주어야한다.
아동을 연구에 참여시킬 때,연구자는 부모나 보호자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하며,동의는 서면으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구자는 자신의 직업과 소속 기관을 밝히고 연구목적과 실시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해야 한다. 이 때 부모나 보호자는 아동의 연구 참여를 거절할 권리는 물론 거절할 기회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연구자는 아동에게 신체적 혹은 심리적 손상을 주는 연구를 해서는 안 된다. 심리적 손상을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연구자는 그것을 분명하게 정의할 책임을 지닌다. 만약 연구하는 도중 아동에게 피해가 생기면,동료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고 연구를 포기하거나 다른 연구방법을 사용해야만 한다.
연구과정 동안 얻은 정보에 대해서는 비밀이 보장되어야 한다. 개별 아동은 연구보고서나 구두 발표 시 익명으로 해야 하며 비공식적 석상에서도 언급되지 않아야 한다.
연구자는 연구 도중이나 연구가 끝난 다음에 아동에게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어떤 사실이 발견된다면, 부모나 보호자에게 알리고 그 분야의 전문가와 상의하여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실험집단 아동에게 적용된 윤리적 표준이 통제집단의 아동과 그 부모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한다.
'아동발달연구회’와 그 회원들은 윤리적 표준에 대해 계속해서 의문을 제기하고 수정하고 개정할 책임을 지닌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1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