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신체 성장
1) 신장과 체중의 변화
2) 신체 비율의 변화
3) 골격 및 근육의 변화
4) 치아의 변화
2. 두뇌 발달
1) 소뇌 발달
2) 뇌의 편측성
3) 왼손잡이
참고문헌
1. 신체 성장
1) 신장과 체중의 변화
2) 신체 비율의 변화
3) 골격 및 근육의 변화
4) 치아의 변화
2. 두뇌 발달
1) 소뇌 발달
2) 뇌의 편측성
3) 왼손잡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게 된다(Borsting, 1994).
[그림 2] 뇌의 편측성
3) 왼손잡이
유아들 중 주로 오른손을 사용하는 오른손잡이나 주로 왼손을 사용하는 왼손잡이가 나타나는 것은 뇌의 편측성에 의한 결과이다(정옥분,2002). 이 무렵 유아에게서 자주 쓰는 손이 어느 쪽인지 뚜렷이 나타난다. 처음에 어린이는 양손을 다 쓰다가 점차 어느 한 쪽 손의 사용이 더 많아지는데, 일반적으로 잘 쓰는 손이 명확히 결정되는 것은 1세 반에서 5세 사이이다. 이 때 왼손을 오른손보다 더 자주 사용하게 되면 왼손잡이가 된다. 유아의 90%가 오른손잡이이고,나머지 10%가 왼손잡이이다. 그리고 남아가 여아보다 왼손잡이인 경우가 약간 더 많다.
일반적으로 유아가 글을 쓰기 시작하면 왼손잡이인가 오른손잡이인가를 알 수 있게 된다. 언어를 관장하는 뇌의 좌반구는 오른손잡이에게 우세하다. 왼손잡이 유아의 경우 언어는 두 개의 반구가 함께 작용하는데, 이것은 왼손잡이의 경우 뇌의 편측성이 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Hiscock & Kinsbourne, 1987).
왼손잡이가 왜 생겨나는지에 대한 논의는 오랫동안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계속되어 왔는데 크게 선천설과 후천설(습관설)로 나뉜다. 선천설은 유전적인 측면에서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인자에 기인한다는 견해와 생리학적 해부학적 측면에서 어느 한 조직이 우세하다는 견해가 있는데, 둘 다 왼손잡이 형성이 결코 환경이나 습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이에 대하여 OrertontI973)은 대뇌지배이론(cerebral dominance theory)을 제시하였다. 그는 두 개의 대뇌반구 중 어느 한 쪽이 우세하여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가 된다고 하였다. 이 입장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은 인체의 우측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좌측 대뇌반구가 우세하므로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가 더 많은데,경우에 따라서 우측 대뇌반구가 더 지배적인 역할을 하게 되면 왼손잡이가 된다는 것이다.
후천설은 유아가 좌우 어느 쪽을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우연한 계기로 혹은 습관이나 훈련,그리고 환경에 의해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가 된다는 견해이다. Dennis(1960)는 왼손잡이 혹은 오른손잡이가 되는 것은 선천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지만,문화적인 요구에 의해 오른손을 더 많이 사용하는 데 그 원인을 돌리고 있다.
이러한 왼손잡이에 대한 선천설과 후천설 중 어느 것이 더 옳은가를 결정하기란 매우 어렵다. 왼손잡이는 교정이 가능한 것인지, 또는 교정하는 것이 좋은지 어떤지는 전문가에 따라 여러 가지 의견의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유아가 오른손잡이이기 때문에 왼손잡이는 고쳐 주어야 한다는 견해와 개인이 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능률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행복한 일이므로 왼손잡이라고 해서 문제 삼을 필요가 없다는 견해가 있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그림 2] 뇌의 편측성
3) 왼손잡이
유아들 중 주로 오른손을 사용하는 오른손잡이나 주로 왼손을 사용하는 왼손잡이가 나타나는 것은 뇌의 편측성에 의한 결과이다(정옥분,2002). 이 무렵 유아에게서 자주 쓰는 손이 어느 쪽인지 뚜렷이 나타난다. 처음에 어린이는 양손을 다 쓰다가 점차 어느 한 쪽 손의 사용이 더 많아지는데, 일반적으로 잘 쓰는 손이 명확히 결정되는 것은 1세 반에서 5세 사이이다. 이 때 왼손을 오른손보다 더 자주 사용하게 되면 왼손잡이가 된다. 유아의 90%가 오른손잡이이고,나머지 10%가 왼손잡이이다. 그리고 남아가 여아보다 왼손잡이인 경우가 약간 더 많다.
일반적으로 유아가 글을 쓰기 시작하면 왼손잡이인가 오른손잡이인가를 알 수 있게 된다. 언어를 관장하는 뇌의 좌반구는 오른손잡이에게 우세하다. 왼손잡이 유아의 경우 언어는 두 개의 반구가 함께 작용하는데, 이것은 왼손잡이의 경우 뇌의 편측성이 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Hiscock & Kinsbourne, 1987).
왼손잡이가 왜 생겨나는지에 대한 논의는 오랫동안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계속되어 왔는데 크게 선천설과 후천설(습관설)로 나뉜다. 선천설은 유전적인 측면에서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인자에 기인한다는 견해와 생리학적 해부학적 측면에서 어느 한 조직이 우세하다는 견해가 있는데, 둘 다 왼손잡이 형성이 결코 환경이나 습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이에 대하여 OrertontI973)은 대뇌지배이론(cerebral dominance theory)을 제시하였다. 그는 두 개의 대뇌반구 중 어느 한 쪽이 우세하여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가 된다고 하였다. 이 입장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은 인체의 우측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좌측 대뇌반구가 우세하므로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가 더 많은데,경우에 따라서 우측 대뇌반구가 더 지배적인 역할을 하게 되면 왼손잡이가 된다는 것이다.
후천설은 유아가 좌우 어느 쪽을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우연한 계기로 혹은 습관이나 훈련,그리고 환경에 의해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가 된다는 견해이다. Dennis(1960)는 왼손잡이 혹은 오른손잡이가 되는 것은 선천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지만,문화적인 요구에 의해 오른손을 더 많이 사용하는 데 그 원인을 돌리고 있다.
이러한 왼손잡이에 대한 선천설과 후천설 중 어느 것이 더 옳은가를 결정하기란 매우 어렵다. 왼손잡이는 교정이 가능한 것인지, 또는 교정하는 것이 좋은지 어떤지는 전문가에 따라 여러 가지 의견의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유아가 오른손잡이이기 때문에 왼손잡이는 고쳐 주어야 한다는 견해와 개인이 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능률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행복한 일이므로 왼손잡이라고 해서 문제 삼을 필요가 없다는 견해가 있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키워드
추천자료
영유아 성장발달과 이유기 영양의 중요성
아동기의 발달
아동기의 발달
유아기 영양관리 (유아의 성장 발달과 영양관리)
소아비만 교육용 메뉴얼
★영유아기 성장발달의 특성 및 문제점과 해결방안★
유아기의 신체 운동발달 발표내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유아기의 신체, 운동발달과 유아기의 인지, 언어발달에 관해서
[보육학개론] 영유아 발달과 보육 - 발달 이해와 영유아기 및 발달 이론과 발달의 특징.PPT자료
유아발달4A)유아기의 신체 발달의 특성을 설명, 적절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또한 유아기...
유아발달4] 유아기의 신체 발달의 특성을 설명하고 적절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또한 유...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학령전기 성장과 발달의 단계별 특징 -학령전기의 개념, 신체 성장...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영아기 성장과 발달의 단계별 특징 - 영아기의 개념, 신체 성장발달...
다양한 교재를 참고로 하여, 2세부터 4세 유아기의 특징, 식습관, 신체적 발달에 대해 정리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