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지각항상성
(1) 형태항상성
(2) 크기항상성
(3) 색깔항상성
2. 공간지각
(1) 움직임 단서
(2) 그림 단서 이용
(3) 깊이지각
(4) 운동발달과 깊이지각
참고문헌
1. 지각항상성
(1) 형태항상성
(2) 크기항상성
(3) 색깔항상성
2. 공간지각
(1) 움직임 단서
(2) 그림 단서 이용
(3) 깊이지각
(4) 운동발달과 깊이지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판 위를 기어갔다. 그러나 6.5개월 이상 된 영아들은
90%가 바둑판 무늬의 유리 위를 기어가다가 투명 유리판 위에서는 두려움을 보이며 기어가기를 멈추었다. 이것을 통해 영아의 깊이지각은 대개 6~7개월경에 형성된다고 추론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 시각절벽장치는 영아가 기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므로 기어 다닐 수 없는 더 어린 영아들의 깊이지각은 파악할 수 없다. 이에 대해 Campos와 연구자들(1970)은 어린 영아들에게도 실시할 수 있는 심장박동 검사를 이용해 2개월 된 영아도 깊이지각을 갖고 있음을 알아냈다. 즉 2개월 된 영아를 상대로 바둑판 무늬 위에서와 투명 유리판 위에서의 심장박동 수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2개월 된 영아는 바둑판 유리 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투명 유리판 위에서는 심장박동이 느려지는 변화를 보였다. 심장박동이 느려지는 현상에 대해 연구자들은 어린 영아가 깊이에 대해서 두려움보다는 흥미를 느끼기 때문이라고 추측하였다. 2개월 된 영아는 깊이의 차이는 감지하지만,깊이를 무서움으로 느끼기보다 흥밋거리로 느낀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깊이에 대한 공포심은 영아가 기어 다닐 무렵에 형성된다고 결론짓고 있다.
(4) 운동발달과 깊이지각
영아는 신체를 움직임으로써 환경을 더욱 잘 지각하게 된다. 깊이지각도 신체를 움직이는 운동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향상된다. 기어다니는 영아는 자신이 움직일 때마다 눈에 비치는 환경이 변한다는 것을 경험한다. 따라서 영아는 움직임으로써 발생하는 시각적 정보, 즉 자신의 공간적 위치와 사물관계 및 형태 변화를 계속적으로 경험하여 공간적 좌표를 읽는 능력을 향상시켜 간다. 이는 형태지각의 발달이 공간능력 발달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것을 말해 준다(Shaffer, 2005).
시간이 지나 시감각이 향상됨에 따라 영아는 더 잘 볼 수 있게 되고, 운동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깊이지각 능력도 더욱 발달한다. 생후 첫 해 동안,세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한 영아들은 눈에 보이는 사물에 더욱 능숙하게 다가서고 만지고 조작한다. 또 움직이는 능력이 발달해 감으로써 깊이와 거리관계에 대해 끊임없이 새롭고 흥미로운 발견을 하게 된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90%가 바둑판 무늬의 유리 위를 기어가다가 투명 유리판 위에서는 두려움을 보이며 기어가기를 멈추었다. 이것을 통해 영아의 깊이지각은 대개 6~7개월경에 형성된다고 추론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 시각절벽장치는 영아가 기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므로 기어 다닐 수 없는 더 어린 영아들의 깊이지각은 파악할 수 없다. 이에 대해 Campos와 연구자들(1970)은 어린 영아들에게도 실시할 수 있는 심장박동 검사를 이용해 2개월 된 영아도 깊이지각을 갖고 있음을 알아냈다. 즉 2개월 된 영아를 상대로 바둑판 무늬 위에서와 투명 유리판 위에서의 심장박동 수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2개월 된 영아는 바둑판 유리 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투명 유리판 위에서는 심장박동이 느려지는 변화를 보였다. 심장박동이 느려지는 현상에 대해 연구자들은 어린 영아가 깊이에 대해서 두려움보다는 흥미를 느끼기 때문이라고 추측하였다. 2개월 된 영아는 깊이의 차이는 감지하지만,깊이를 무서움으로 느끼기보다 흥밋거리로 느낀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깊이에 대한 공포심은 영아가 기어 다닐 무렵에 형성된다고 결론짓고 있다.
(4) 운동발달과 깊이지각
영아는 신체를 움직임으로써 환경을 더욱 잘 지각하게 된다. 깊이지각도 신체를 움직이는 운동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향상된다. 기어다니는 영아는 자신이 움직일 때마다 눈에 비치는 환경이 변한다는 것을 경험한다. 따라서 영아는 움직임으로써 발생하는 시각적 정보, 즉 자신의 공간적 위치와 사물관계 및 형태 변화를 계속적으로 경험하여 공간적 좌표를 읽는 능력을 향상시켜 간다. 이는 형태지각의 발달이 공간능력 발달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것을 말해 준다(Shaffer, 2005).
시간이 지나 시감각이 향상됨에 따라 영아는 더 잘 볼 수 있게 되고, 운동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깊이지각 능력도 더욱 발달한다. 생후 첫 해 동안,세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한 영아들은 눈에 보이는 사물에 더욱 능숙하게 다가서고 만지고 조작한다. 또 움직이는 능력이 발달해 감으로써 깊이와 거리관계에 대해 끊임없이 새롭고 흥미로운 발견을 하게 된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추천자료
[사회복지] 아동발달의 이해 - 영아기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영유아프로그램] 언어발달과 교육적 적용 연구
[A+ 레포트] 영유아기의 신체/운동 발달 특징과 지도방안
[유아발달][유아발달이론][유아지각발달][유아지식발달][유아성심리발달][정서발달][사회성발...
영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발달1
영유아기 과학적 탐구의 발달 단계 특징, 지도방법
[아동간호학] 영아기 - 영아 발달
인지발달 이론과 정신분석 이론의 영아기 특징을 기술하고 영아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를 논...
가정교육이란,가정교육의 개념,가정교육의 중요성,발달단계별 가정교육과 부모의 역할,영아기...
11장 인간의 성장과 발달 태아기 영유아기 학령전기
부모교육 B형, 영아기 및 유아기 발달 특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영아기 및 유아기 자녀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