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과 종류
1) 호혜성의 개념
2) 호혜성의 유형
(1) 포괄적 호혜성
(2) 균형적 호혜성
(3) 부정적 호혜성
(4) 구체적 호혜성
2. 효과
1) 게임이론의 시각
2) 국제정치적 시각
1) 호혜성의 개념
2) 호혜성의 유형
(1) 포괄적 호혜성
(2) 균형적 호혜성
(3) 부정적 호혜성
(4) 구체적 호혜성
2. 효과
1) 게임이론의 시각
2) 국제정치적 시각
본문내용
은 종종 연속적이라서 어떤 주어진 시간에 적절한 맞대응 수단을 찾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동시교환에서는 의무가 존재하지 않는다. 교환은 어떤 순간에도 균형적이기 때문이다. 거꾸로, 동시적인 교환은 종종 신뢰의 붕괴를 반영한다.
어쨌든, 포괄적 호혜성의 실행자는 협력행위를 통해 직접적인 보상을 받지 않는 까닭에, 포괄적 호혜성의 패턴은 오직 사회에 널리 퍼진 의무감(sense of obligation)을 통해 유지될 수 있다. 강한 의무감이 부재한 상태에서 포괄적 호혜성은 그 실행자를 착취의 위험에 노출시킨다. 이 경우, 구체적 호혜성이 그 치유책이 될 수 있다. 구체적 호혜성은 국제관계에서처럼 의무규범이 약할 때의 적절한 행위원칙이다. 이렇게 구체적/포괄적 호혜성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고, 이들의 관계는 선형적이 아니라 변증법적이다. 구체적 호혜성은 무정부 상태에서 협력이 생겨나게 할 수 있고 포괄적 호혜성이 발전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 호혜성은 거래관계를 제한하고, 다자간 협상을 복잡하게 만들고, 양자관계에서조차 불화를 야기할 수도 있다. 포괄적 호혜성은 불필요한 갈등의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착취의 위험에 노출된다. 둘 중 어느 호혜성도 완전히 만족적이지 않다면, 적절한 제도적 장치를 고려해봐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람들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혹은 교환관계는 균형적 호혜성 내지 포괄적 호혜성을 생성하고, 이러한 호혜성은 사람들 사이의 신뢰와 협력의 기반이 된다.
사실 포괄적 호혜성의 기능은 이러한 호혜성(도움, 관용성, 노블레스 오블리즈 등)이 결여된 사회를 상상하면 쉽게 이해된다. 결론적으로, 민주주의나 경제발전을 위해 우리는 우선 타인과의 상호작용 네트워크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참여가 연계를 낳고, 연계가 네트워크나 결사체를 낳고, 네트워크나 결사체활동은 호혜성을 낳고, 호혜성은 신뢰나 협력을 낳고, 신뢰나 협력은 민주주의나 경제의 발전을 낳기 때문이다. 사실 Putnam의 ‘시민참여의 네트워크’ 개념 내지 사회자본론은 이러한 논리구조 속에 있다고 여겨진다. 그의 사회자본은 “개인들 사이의 연계(connections), 그리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사회적 네트워크, 호혜성과 신뢰(2000: 19)” 혹은 “협력적 행위를 촉진시켜 사회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신뢰, 규범 및 네트워크와 같은 사회조직의 특성(1993a: 167)”이기 때문이다.
어쨌든, 포괄적 호혜성의 실행자는 협력행위를 통해 직접적인 보상을 받지 않는 까닭에, 포괄적 호혜성의 패턴은 오직 사회에 널리 퍼진 의무감(sense of obligation)을 통해 유지될 수 있다. 강한 의무감이 부재한 상태에서 포괄적 호혜성은 그 실행자를 착취의 위험에 노출시킨다. 이 경우, 구체적 호혜성이 그 치유책이 될 수 있다. 구체적 호혜성은 국제관계에서처럼 의무규범이 약할 때의 적절한 행위원칙이다. 이렇게 구체적/포괄적 호혜성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고, 이들의 관계는 선형적이 아니라 변증법적이다. 구체적 호혜성은 무정부 상태에서 협력이 생겨나게 할 수 있고 포괄적 호혜성이 발전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 호혜성은 거래관계를 제한하고, 다자간 협상을 복잡하게 만들고, 양자관계에서조차 불화를 야기할 수도 있다. 포괄적 호혜성은 불필요한 갈등의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착취의 위험에 노출된다. 둘 중 어느 호혜성도 완전히 만족적이지 않다면, 적절한 제도적 장치를 고려해봐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람들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혹은 교환관계는 균형적 호혜성 내지 포괄적 호혜성을 생성하고, 이러한 호혜성은 사람들 사이의 신뢰와 협력의 기반이 된다.
사실 포괄적 호혜성의 기능은 이러한 호혜성(도움, 관용성, 노블레스 오블리즈 등)이 결여된 사회를 상상하면 쉽게 이해된다. 결론적으로, 민주주의나 경제발전을 위해 우리는 우선 타인과의 상호작용 네트워크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참여가 연계를 낳고, 연계가 네트워크나 결사체를 낳고, 네트워크나 결사체활동은 호혜성을 낳고, 호혜성은 신뢰나 협력을 낳고, 신뢰나 협력은 민주주의나 경제의 발전을 낳기 때문이다. 사실 Putnam의 ‘시민참여의 네트워크’ 개념 내지 사회자본론은 이러한 논리구조 속에 있다고 여겨진다. 그의 사회자본은 “개인들 사이의 연계(connections), 그리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사회적 네트워크, 호혜성과 신뢰(2000: 19)” 혹은 “협력적 행위를 촉진시켜 사회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신뢰, 규범 및 네트워크와 같은 사회조직의 특성(1993a: 167)”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커뮤니케이션][커뮤니케이션의 학적체계][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이해][커뮤니케이션과 권력]커...
[내러티브][내러티브 의의][내러티브 비선형적 형식][내러티브 맥락적 이해][내러티브 도덕교...
[사회복지행정론]기획(개념, 필요성, 유형, 특성, 과정)과 의사결정(개념, 방법, 과정, 모델...
[유아수/과학지도] 수학적 탐구의 개념과 방법 - 유아기 수학적 탐구능력의 발달단계, 수 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생태학적 이론(생태체계이론의 개념과 특성 및 유용성), 생태체계이론...
[아동건강교육] 기초 식품군의 이해 - 기초 식품군, 비타민과 수분(비타민의 개념과 특징, 수...
유아교육개론 영아발달이론(영아발달의기본이론, 영아발달의핵심개념) 이론요약정리 보고서, ...
[사회복지정책론]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기초적 이해 -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구성요소, 사회...
[생화학]탄수화물(Carbohydrate) - 탄수화물의 개념과 기능 및 분류, 단당류의 분류와 구조의...
[보육학개론 保育學槪論] 기관 중심 보육의 이해 (기관 중심 보육의 개념, 보육시설, 시간제 ...
[fet_증폭기] 공통 소스 증폭기의 개념과 종류를 이해하고, PROVSM을 이용한 회로 구성과 시...
[모성의 개념과 특징] 모성 (母性) - 모성의 개념, 동양의 모성, 서양의 모성, 모성에 대한 이해
[언어지도] 프로이트와 에릭슨 이론에 대한 이해 - 프로이드트 이론의 주요 개념과 심리성적 ...
[청소년상담] 상담의 대면 기술 중 ‘재진술’과 ‘해석’ 대한 이해 - 재진술의 개념과 특징 및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