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하나님의 성육신
2. 신인의 인격
3. 그리스도의 무죄성
1. 하나님의 성육신
2. 신인의 인격
3. 그리스도의 무죄성
본문내용
가 다윗의 아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내가 목마르다는 선언은 신적 인격이 말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위격에 전달되므로 합당하게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인격의 통일성 때문이다.
인성은 무인격적 인성의 취택이어서 모든 인격적 결정은 다 신격의 일이다. 두 본성이 한 인격 내에서 통일되어 합당하게 말할 수 있다. 두 본성이 한 인격에로의 통일은 성육신 자체와 같은 신비이다.
3. 그리스도의 무죄성
그리스도는 인성을 취했어도 무죄하다. 그리스도는 완전히 거룩한 사람으로 출생했다. 죄책과 오염이 전달되지 않아 다시 중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성화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었다. 타락 후 예수만이 중생이 전혀 요구되지 않았고 성화의 노력을 할 필요가 없었다. 그는 완전자로 출발했다. 따라서 그는 하나님의 거룩한 자였다. 그러므로 시험과 유혹에 죄있는 반응을 하지 않았고 투쟁을 거쳐 성화에로 나가지 않았다. 그는 처음부터 윤리에 있어 온전한 인간이었다. 우리는 그의 공생에 중 거룩에로의 진보를 알지 못한다. 그는 시험과 유혹에도 죄는 결코 구성하지 않았다. 시험이 없었기 때문에 무죄한 것이 아니라 시험에도 죄있는 대응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그는 거룩한 자로서 죄와 분리되었다.
그리스도는 남자의 개입 없이 성령의 능력으로 형성되었다. 남자의 개입으로 이루어졌다면 죄를 전가 받아 죄책을 지녀 유죄할 것이다. 마리아의 실체에서 형성될 때 인성이 완전 성화가 되어 그리스도를 형성했기 때문에 완전 무죄하다. 남자의 개입에 의해 형성되었으면 인간 인격을 가져 유죄할 수밖에 없다.
그리스도는 첫 언약의 대상이 아니다. 그래서 그분은 아담을 머리로 하여 체결된 첫 언약 곧 아담 언약의 대상이 아니므로 아담에 의한 범죄의 죄책이 전달되지 않는다. 바울은 이 때문에 그리스도는 하늘의 인격을 지녔다고 말한다. 완전한 우리의 인성이어도 무죄하다. 유죄하면 우리의 구원자가 될 수 없다.
그리스도는 범죄의 가능성이 성령의 도움과 역사로 인해 배제된다. 완전 의인이며 완전히 거룩한 사람이신 예수님은 죄에 대한 반응이 우리와 전혀 다르고 또 죄에로 넘어갈 수 없다. 그러나 성령의 도움과 역사로 죄에로 타락이 불가능하다. 많은 시험과 유혹이 그의 공생애 시작부터 겟세마네 동산에까지 계속되었어도 죄된 결정과 죄를 구성할 반응은 전혀 없었다.
그리스도의 인격적 통제를 벗어나 인성의 의지가 죄에로 나가고 죄된 것을 욕망할 수 없다. 그리스도는 언제든지 하나님의 뜻만 다 행하였으므로 인성의 의지가 하나님의 뜻과 작정과 배치된 것을 원하고 행할 수 없었다.
재세례파는 그리스도의 인성의 무죄를 해결하기 위해 천적인 인성을 하늘에서 가져와서 마리아의 몸을 도관으로 하여 그리스도의 인격에 결합되었다고 한다. 천적인 인성은 있지도 않고 설혹 그런 인성이 있다고 해도 우리의 본성이 아니다. 또 우리 인성과 유사하다 해도 그것은 우리의 본성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의 구주가 될 수 없다. 이렇게 개혁자들 특히 칼빈이 재세례파의 가르침을 배척했다.
로마교회는 그리스도의 무죄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리아의 무흠수태설을 가르친다. 그러나 이 주장에 의하면 마리아가 원죄의 유전에서 전적으로 벗어나 있다. 마리아의 무죄를 보장하려면 마리아의 모든 조상들의 무죄가 보장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것은 성경의 가르침인 죄의 보편성의 원리에 저촉되어 불가하다. 마리아 자체가 무죄한 것이 아니라 마리아를 성화하고 그녀의 인성을 성화하여 그리스도에게 죄의 오염과 전가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한 성령의 성화 역사 때문에 그리스도가 무죄하다.
이와 같이 예수님의 인격은 하나님의 아들의 성육신으로 말미암는 신인 양성의 한 인격이다.
인성은 무인격적 인성의 취택이어서 모든 인격적 결정은 다 신격의 일이다. 두 본성이 한 인격 내에서 통일되어 합당하게 말할 수 있다. 두 본성이 한 인격에로의 통일은 성육신 자체와 같은 신비이다.
3. 그리스도의 무죄성
그리스도는 인성을 취했어도 무죄하다. 그리스도는 완전히 거룩한 사람으로 출생했다. 죄책과 오염이 전달되지 않아 다시 중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성화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었다. 타락 후 예수만이 중생이 전혀 요구되지 않았고 성화의 노력을 할 필요가 없었다. 그는 완전자로 출발했다. 따라서 그는 하나님의 거룩한 자였다. 그러므로 시험과 유혹에 죄있는 반응을 하지 않았고 투쟁을 거쳐 성화에로 나가지 않았다. 그는 처음부터 윤리에 있어 온전한 인간이었다. 우리는 그의 공생에 중 거룩에로의 진보를 알지 못한다. 그는 시험과 유혹에도 죄는 결코 구성하지 않았다. 시험이 없었기 때문에 무죄한 것이 아니라 시험에도 죄있는 대응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그는 거룩한 자로서 죄와 분리되었다.
그리스도는 남자의 개입 없이 성령의 능력으로 형성되었다. 남자의 개입으로 이루어졌다면 죄를 전가 받아 죄책을 지녀 유죄할 것이다. 마리아의 실체에서 형성될 때 인성이 완전 성화가 되어 그리스도를 형성했기 때문에 완전 무죄하다. 남자의 개입에 의해 형성되었으면 인간 인격을 가져 유죄할 수밖에 없다.
그리스도는 첫 언약의 대상이 아니다. 그래서 그분은 아담을 머리로 하여 체결된 첫 언약 곧 아담 언약의 대상이 아니므로 아담에 의한 범죄의 죄책이 전달되지 않는다. 바울은 이 때문에 그리스도는 하늘의 인격을 지녔다고 말한다. 완전한 우리의 인성이어도 무죄하다. 유죄하면 우리의 구원자가 될 수 없다.
그리스도는 범죄의 가능성이 성령의 도움과 역사로 인해 배제된다. 완전 의인이며 완전히 거룩한 사람이신 예수님은 죄에 대한 반응이 우리와 전혀 다르고 또 죄에로 넘어갈 수 없다. 그러나 성령의 도움과 역사로 죄에로 타락이 불가능하다. 많은 시험과 유혹이 그의 공생애 시작부터 겟세마네 동산에까지 계속되었어도 죄된 결정과 죄를 구성할 반응은 전혀 없었다.
그리스도의 인격적 통제를 벗어나 인성의 의지가 죄에로 나가고 죄된 것을 욕망할 수 없다. 그리스도는 언제든지 하나님의 뜻만 다 행하였으므로 인성의 의지가 하나님의 뜻과 작정과 배치된 것을 원하고 행할 수 없었다.
재세례파는 그리스도의 인성의 무죄를 해결하기 위해 천적인 인성을 하늘에서 가져와서 마리아의 몸을 도관으로 하여 그리스도의 인격에 결합되었다고 한다. 천적인 인성은 있지도 않고 설혹 그런 인성이 있다고 해도 우리의 본성이 아니다. 또 우리 인성과 유사하다 해도 그것은 우리의 본성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의 구주가 될 수 없다. 이렇게 개혁자들 특히 칼빈이 재세례파의 가르침을 배척했다.
로마교회는 그리스도의 무죄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리아의 무흠수태설을 가르친다. 그러나 이 주장에 의하면 마리아가 원죄의 유전에서 전적으로 벗어나 있다. 마리아의 무죄를 보장하려면 마리아의 모든 조상들의 무죄가 보장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것은 성경의 가르침인 죄의 보편성의 원리에 저촉되어 불가하다. 마리아 자체가 무죄한 것이 아니라 마리아를 성화하고 그녀의 인성을 성화하여 그리스도에게 죄의 오염과 전가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한 성령의 성화 역사 때문에 그리스도가 무죄하다.
이와 같이 예수님의 인격은 하나님의 아들의 성육신으로 말미암는 신인 양성의 한 인격이다.
추천자료
멘토링에 대한 바른 이해
아동의 권리에 대한 다양한 이해와 우리의 과제
[성령][성령론]성령과 성령론(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호칭, 성령의 인격성과 신성, 성령세례, ...
인간 이해와 상담
묵자의 철학(삼표법, 겸애교리, 겸애설, 의리합일, 지공합일, 인격천, 비명론, 상현론)
공연문화에대한 전반적인 이해(상세내용 요청들 내용입니다.)
[목회론요약] 목사는 누구이며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목사의 인격 요약
미션 퍼스펙티브(랄프 윈터) 요약 - 02과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이야기
정신병리 (표정과 태도, 행동의 장애, 지각의 장애, 사고의 장애, 감정의 장애, 의식의 장애,...
일천번제에 대한 바른 이해 - 일천번제 헌금에 대한 개혁주의적 비평 (일천번제에 대한 성경...
[현대윤리학자 세미나] 월터 라우쉔부쉬 (Walter Rauschenbush) - 월터 라우센부쉬의 사회복...
[성경] 율법과 복음, 십계명 - 율법의 개념, 율법의 기능, 십계명의 이해, 십계명 분석, 율법...
[교육과 사회사상 敎育 社會思想] 그람시(Gramsci)의 교육사상에 대한 이해 - 그람시에 있어...
(A+ 레포트,시험대비) [현대노인복지론] 노인의 성에 대한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