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스템 모델링 및 제어 - PID 실험 보고서
1. 실험목적
2. 실험 내용
3. 실험결과
4. 고찰
1. 실험목적
2. 실험 내용
3. 실험결과
4. 고찰
본문내용
시스템 모델링 및 제어 - PID 실험 보고서
1. 실험목적
- PID 제어를 통해 P,I,D 각각의 수치 변화에 따른 출력 값을 알아본다.
2. 실험 내용
- Signal Station을 통해 P,I,D값을 바꿔가며 출력값 그래프변화를 관찰한다.
(1). I와 D값을 각각 0, 0으로 고정 하고 P값을 50, 100, 300, 500으로 바꾼다.
(P,I,D) = (50,0,0), (100,0,0), (300,0,0), (500,0,0)
(2). P와 D값을 각각 300, 20000 으로 고정 하고 I값을 0, 0.5, 1, 100으로 바꾼다.
(P,I,D) = (300,0,20000) , (300,0.5,20000), (300,1,20000), (300,100,20000)
(3). P와 I값을 각각 300, 0으로 고정 하고 D값을 0, 10, 5000, 20000으로 바꾼다.
(P,I,D) = (300,0,0), (300,0,10), (300,0,5000), (300,0,20000)
3. 실험결과
(1). I와 D값을 각각 0, 0으로 고정 하고 P값을 50, 100, 300, 500으로 바꾼다.
(P,I,D) = (50,0,0)
(P,I,D) = (100,0,0)
(P,I,D) = (200,0,0)
(P,I,D) = (300,0,0)
(P,I,D) = (500,0,0)
(2). P와 D값을 각각 300, 20000 으로 고정 하고 I값을 0.5, 0, 1, 100으로 바꾼다.
(P,I,D) = (300,0,20000)
(P,I,D) = (300,0.5,20000)
(P,I,D) = (300,1,20000)
(P,I,D) = (300,100,20000)
(3). P와 I값을 각각 300, 0으로 고정 하고 D값을 0, 10, 5000, 20000으로 바꾼다.
(P,I,D) = (300,0,0)
(P,I,D) = (300,0,10)
(P,I,D) = (300,0,5000)
(P,I,D) = (300,0,20000)
4. 고찰
- 실험을 통해 이론으로 배운 PID의 특성을 확일 할 수 있었다. 위의 실험 결과와 같이 재확인 할 수 있었던 내용은 다음과 같다.
P값 증가 : 힘, 속도 증가, Overshoot도 증가
D값 증가 : Overshoot감소, 진동을 줄여줌
I값 증가 : 정확도 증가, 정상상태 오차 감소, 그러나 값이 너무 커지면 발산
위의 내용은 이론에서 배운 내용과 일치 하였다. 특별히 정상상태 오차를 감소시켜 정확도 와 관련되는 I값이 너무 커지며 발산함을 확인하면서 실험을 통해 필요한 값을 정확하게 지정 할 필요가 있단 걸 알았다. 또한 무조건 P,I,D값을 높여주기 보다는 사용 목적에 맞 게 적절히 값을 지정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Cf) 기타 수업 이론 내용
- 전달함수 : 물체를 수식으로 그린 것 (질량, 댐퍼, 탄성 값을 이용해 표현)
- 제어기 : 전달함수를 바꾸어서 내가 원하는 출력 값으로 나오게 하는 것
1. 실험목적
- PID 제어를 통해 P,I,D 각각의 수치 변화에 따른 출력 값을 알아본다.
2. 실험 내용
- Signal Station을 통해 P,I,D값을 바꿔가며 출력값 그래프변화를 관찰한다.
(1). I와 D값을 각각 0, 0으로 고정 하고 P값을 50, 100, 300, 500으로 바꾼다.
(P,I,D) = (50,0,0), (100,0,0), (300,0,0), (500,0,0)
(2). P와 D값을 각각 300, 20000 으로 고정 하고 I값을 0, 0.5, 1, 100으로 바꾼다.
(P,I,D) = (300,0,20000) , (300,0.5,20000), (300,1,20000), (300,100,20000)
(3). P와 I값을 각각 300, 0으로 고정 하고 D값을 0, 10, 5000, 20000으로 바꾼다.
(P,I,D) = (300,0,0), (300,0,10), (300,0,5000), (300,0,20000)
3. 실험결과
(1). I와 D값을 각각 0, 0으로 고정 하고 P값을 50, 100, 300, 500으로 바꾼다.
(P,I,D) = (50,0,0)
(P,I,D) = (100,0,0)
(P,I,D) = (200,0,0)
(P,I,D) = (300,0,0)
(P,I,D) = (500,0,0)
(2). P와 D값을 각각 300, 20000 으로 고정 하고 I값을 0.5, 0, 1, 100으로 바꾼다.
(P,I,D) = (300,0,20000)
(P,I,D) = (300,0.5,20000)
(P,I,D) = (300,1,20000)
(P,I,D) = (300,100,20000)
(3). P와 I값을 각각 300, 0으로 고정 하고 D값을 0, 10, 5000, 20000으로 바꾼다.
(P,I,D) = (300,0,0)
(P,I,D) = (300,0,10)
(P,I,D) = (300,0,5000)
(P,I,D) = (300,0,20000)
4. 고찰
- 실험을 통해 이론으로 배운 PID의 특성을 확일 할 수 있었다. 위의 실험 결과와 같이 재확인 할 수 있었던 내용은 다음과 같다.
P값 증가 : 힘, 속도 증가, Overshoot도 증가
D값 증가 : Overshoot감소, 진동을 줄여줌
I값 증가 : 정확도 증가, 정상상태 오차 감소, 그러나 값이 너무 커지면 발산
위의 내용은 이론에서 배운 내용과 일치 하였다. 특별히 정상상태 오차를 감소시켜 정확도 와 관련되는 I값이 너무 커지며 발산함을 확인하면서 실험을 통해 필요한 값을 정확하게 지정 할 필요가 있단 걸 알았다. 또한 무조건 P,I,D값을 높여주기 보다는 사용 목적에 맞 게 적절히 값을 지정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Cf) 기타 수업 이론 내용
- 전달함수 : 물체를 수식으로 그린 것 (질량, 댐퍼, 탄성 값을 이용해 표현)
- 제어기 : 전달함수를 바꾸어서 내가 원하는 출력 값으로 나오게 하는 것
키워드
추천자료
구리(Cu), 알루미늄(Al)의 열적 특정비쿄 실험결과
PCR실험결과와 고찰레포트
물리실험결과보고서- 열의 일당량
폐루프 이득 측정,이득‐대역폭 곱 측정,전압‐전류 변환기 실험결과
부체안정성실험결과레포트
충격시험(Impact Test) 실험결과 및 고찰
[디지털논리회로]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Multiplexer, Demultiplexer) 실험결과보고서
[물리]R-L, R-C, R-L-C 회로분석 실험결과보고서
관의공명(Resonance Tube) 실험결과보고서
A+맞은 실험 레포트 규석과 알루미나의 혼합비율에 따른 특성과 실험결과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 시멘트가 가진 강함을 알고 품질검사와 동시...
[A+] 알칼리 탈지제의 제조와 탈지효과 - 탈지, 더러움의 종류 및 제거방법, 탈지 종류 및 방...
포토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 정의, 센서의 원리, 센서의 종류 및 특징, 응용분...
실험결과 보고서 - 전자기이끎 현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