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의 이해] 로컬푸드(로컬푸드 [Local Food] 시) 성공추진을 위한 필요충분조건 - 전국에 로컬푸드 봉화가 피어오르게 하자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컬푸드의 이해] 로컬푸드(로컬푸드 [Local Food] 시) 성공추진을 위한 필요충분조건 - 전국에 로컬푸드 봉화가 피어오르게 하자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왜 로컬푸드인가; 글로벌푸드시스템을 이기는 힘

2. 대한민국 농업․농촌․농민의 현주소

3. 대한민국 지역농업여건에서 로컬푸드 뿌리내리자면..

본문내용

생산비+알파
- 연중 동일 가격전략, 품질 및 안정성 제고 전략
- 일본이 농가당 매대 구분 또는 바구니를 쓰는 이유
※ 신선도, 합리적 가격, 지역산에 대한 신뢰의 원칙 세워야
※ 농가와 소비자가 서로에게 고마운 존재로 인식
※ 직원의 기본자세 : 양 주체에게 고마움과 감동을 연결하는 연결자
※ 유통안정기금 조성 : 자기노력+지자체 및 정부지원(이해찬의원 로컬푸드법)
※ 안전성 관리 : 지속적인 농가교육+지자체 단위 안전성관리+국가지원
⑦ 로컬푸드를 통한 지역단위 농업의 6차산업화 촉진
- 직매장(1차 생산, 2차 가공/식재료)+농가레스토랑(3차/음식문화)+농촌체험(3차/ 신뢰관계 확산)
- 각 사업간 연계성, 통합성이 중요
⑧ 학교급식과 공공급식
- 학교급식의 핵심 : 급식센터/ 지역산 비중을 높이는 것(신뢰할 만한 제휴푸드 등)
- 학교급식은 공공급식과 연계하여 추진(연중공급의 안정성)
- 학교급식은 다음세대에 대한 먹거리 교육과 함께 추진(식교육)
※ 로컬푸드 통합지원센터(생산 및 소비 통합관리) 내에 위치
※ 공동식단제, 공동구매에 의한 기획생산 체계
⑨ ‘관주도, 민간주도’ 틀렸다, 민관거버넌스가 있을 뿐
- 무엇을 위해 로컬푸드를 추진하고자 하는가-관점과 철학의 문제
- 행정의 통합적 정책수립 필요 : 농정혁신의 관점(투-트랙)
정책대상, 정책목표, 정책수단(생산 및 가공/ 관계시장/ 커뮤니케이션 등)
정책, 예산, 주체, 시스템 차원의 접근
- 조례에 의한 활성화 촉진(제도정비)- 이해찬의원 로컬푸드법 참조
“원칙과 감동이 없으면,
로컬푸드 관계시장은 언제든지 위기에 처할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4.17
  • 저작시기201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2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