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와_사고(3주차_강의자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리와_사고(3주차_강의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통논리의 판단론
2.1판단(judgement)의 분류
‘判斷’(판단)이란 오늘날 ‘명제’(命題; proposition) 나 ‘언명’(言明; statement)에 해당하는데,
판단은 명제와 같이 어떤 사실(fact)이나 사태(state of affairs)에 대하여 기술(記述)하는 서술문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판단이나 명제는 어떤 사실을 기술하므로 참이거나 거짓임을 판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제 다음의 예를 통해 판단인지 아닌지를 가려보자.
(사례)
1) 산호는 동물이다.
2) 이 장미는 붉다.
3) 오빠는 어제 나에게 시 한수를 읽어 주었다.
4) 그 장미는 흰가?
5) 꼼작 마라!
1) 오! 나의 님이여!
2) 누나는 “그 장미는 붉은가?”라고 나에게 물었다.
위 사례에서 판단을 가려보면 다음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식 3]
[ ]은(는) { }(이)다.
------------------- ………………….
주(主)개념 빈(賓)개념 계사(繫辭; copula)
S is(계사) P

전통논리의 판단은 주개념을 나타내는 주어와 빈개념을 나타내는 술어가 계사에 의해 연결된 서술문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형식에 딱 들어맞는 것은 1)뿐이고 판단이라고 우리가 판정한 2) 3) 7)은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2’) 이 장미는 붉은 것이다.
3’) 오빠는 어제 나에게 시 한수를 읽어준 자이다.
4’) 누나는 ‘그 장미는 붉은가’라고 물은 자이다.
이처럼 바꾸어서 형식을 맞춰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4.23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9648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