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통논리의 판단은 주개념을 나타내는 주어와 빈개념을 나타내는 술어가 계사에 의해 연결된 서술문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형식에 딱 들어맞는 것은 1)뿐이고 판단이라고 우리가 판정한 2) 3) 7)은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2’) 이 장미는 붉은 것이다.
3’) 오빠는 어제 나에게 시 한수를 읽어준 자이다.
4’) 누나는 ‘그 장미는 붉은가’라고 물은 자이다.
이처럼 바꾸어서 형식을 맞춰야 한다.
2’) 이 장미는 붉은 것이다.
3’) 오빠는 어제 나에게 시 한수를 읽어준 자이다.
4’) 누나는 ‘그 장미는 붉은가’라고 물은 자이다.
이처럼 바꾸어서 형식을 맞춰야 한다.
추천자료
신사고 이론 20
논리란 무엇인가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언어와 사고 도착점 없는 논쟁의 긴 여정
논리학에서 다루는 논증의 종류와 그 논증을 찾아내고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교통사고 사례와 요령 및 억울한 교통사고 처리요령
비판적 사고의 정의, 비판적 사고의 특성, 비판적 사고의 기능,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
[사고][사고력][사고와 사고력][사고와 집단사고][사고와 도덕적사고][사고와 수평적사고]사...
비판적사고와 간호(비평적사고와간호)간호와 비평적사고의 적용
원자력발전사고에_따른_환경오염
통합적 글쓰기, 효율적인 독서법, 논리적 글쓰기, 효율적인 논증기법, 논리학과 논증, 글쓰기...
[논리][논리 의미][논리 구조][논리 추론][논리 검증][논리 오류][논증][타당성][추론][검증]...
[논리, 논리 개념, 논리 분석, 논리 구조, 논리와 오류, 논리와 논리학, 서정성논리, 저자논...
논리학의 기본 입문서, 논증과 추론, 논리학, 리더를 위한 논리 훈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