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산후우울증의 개념
2. 프로그램 개발배경 및 필요성
3.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Ⅱ.본론
5. 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
6. 프로그램의 세부내용
1) 1회기
2) 2회기
3) 3회기
4) 4회기
5) 5회기
6) 6회기
7) 7회기
Ⅲ. 결론
7. 결론 및 제언
Ⅳ. 부록
8. 활동지
9. 참고문헌
1. 산후우울증의 개념
2. 프로그램 개발배경 및 필요성
3.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Ⅱ.본론
5. 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
6. 프로그램의 세부내용
1) 1회기
2) 2회기
3) 3회기
4) 4회기
5) 5회기
6) 6회기
7) 7회기
Ⅲ. 결론
7. 결론 및 제언
Ⅳ. 부록
8. 활동지
9.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난 모습을 보여주기 싫어하며, 실제로는 기분이 나빠도 나쁘지 않는 척 하는 편이다.
□ □ □ □ □
▣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여러분이 어떻게 반응하였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맞으면 해당되는 칸에 V표 하세요.
25. 대화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을 분산시키는 경향이 있다.
□ □ □ □ □
26. 다른 사람이 나에게 표현하는 느낌을 잘 믿고 받아들이는 편이다.
□ □ □ □ □
27. 정직하게 ‘예’ 혹은 ‘아니오’라고 말한다.
□ □ □ □ □
28. 내가 말하는 내용을 듣는 사람이 이해 못해도 상관하지 않는 편이다.
□ □ □ □ □
29. 일관성이 없고 상황에 맞지 않는 말을 하는 경향이다.
□ □ □ □ □
30. 나의 생각을 분명하게 밝히며, 해야 할 말을 자신있게 하는 편이다.
□ □ □ □ □
31. 까다로운 일에 대해 결정하기를 귀찮아한다.
□ □ □ □ □
32. 솔직하지 못하고 무책임하게 말을 하는 편이다.
□ □ □ □ □
33. 행동할 때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편이다.
□ □ □ □ □
34. 불평불만이 많은 편이다.
□ □ □ □ □
35. 미니 생각하지 않고 되는대로 말하는 경향이 있다.
□ □ □ □ □
36. 상대방의 느낌을 잘 이해하는 편이다.
□ □ □ □ □
37. 상대방을 비난하는 말을 자주 한다.
□ □ □ □ □
38. 다른 사람에게 관심이나 따뜻한 마음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 □ □ □ □
39. 지나치게 합리적이며 객관적인 경향이 있다.
□ □ □ □ □
40. 거절하는 말을 잘 못하는 편이다.
□ □ □ □ □
41. 윗사람이 꾸중을 하면 성이 나서 일일이 대꾸를 한다.
□ □ □ □ □
42. 나 자신의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 □ □ □ □
43. 내가 무슨 말을 할 때, 상대방이 화를 낼까 많이 염려한다.
□ □ □ □ □
44. 다른 사람이 나에게 충고하려고 하면 나도 상대방의 결점을 찾아내어 공격한다.
□ □ □ □ □
45. 다른 사람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는 편이다.
□ □ □ □ □
46. 다른 사람의 대화에 끼어들어 관심을 받으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 □ □ □ □
47. 상대가 어떻게 생각하든지, 할 수 없는 일은 못한다고 거절하는 편이다.
□ □ □ □ □
48. 화가 나도 무조건 참는다.
□ □ □ □ □
49 다른 사람으로부터 모욕을 당하면 당장 그 자리에서 상대를 골려준다.
□ □ □ □ □
회유
비난
초이성
산만
일치
□
□
□
□
□
활동지-4 산후 건강 식이요법
산후 건강 식이요법
1) 소변이 시원하지 않거나 손, 발, 얼굴 등에 부종이 있을 때 : 수박 포도 복숭아잎 배추 미나리 녹두 옥수수뿌리 오이 연뿌리 뽕나무잎 율무 콩 보리 검은콩 팥 메밀 파래 다시마 미역 토란 수수 대싸리씨 비파잎 잉어 붕어 가물치 미꾸라지 대합 호박
2) 임신 및 분만으로 인해 기력(氣力)이 손상되고 출혈이 심해 몸이 허약해 졌을 때(기운이 없고 피로가 심하며, 허리 및 다리에 힘이 없거나 입맛이 없고, 식은땀이 많이 날 때) : 시금치 옥수수 대추 호도 더덕 땅콩 밤 연밥살 찹쌀 콩 목이버섯 개 잣 소고기 염소고기 닭고기 잉어 조개류 해삼 고막 오징어 호박 아욱 해삼 소라 머루 대구
3) 어혈이나 담은 등을 인하여 전신(허리 무릎 손 발 어깨 목)의 관절 및 근육이 쑤시고 아플 때(산후풍(産後風)) : 생강 무 배추 시금치 녹두 생강 귤껍질 모과 쑥 뽕나무가지 율무 목이버섯 파래 다시마 미역 대싸리씨 잉어 해삼 호박
4) 젖이 잘 나오게 하려면 : 파 상추 호도 땅콩 콩 팥 깨 잣 소고기 돼지족발 잉어 붕어 전복 꿀 완두콩 딸기
5) 불안, 초조, 우울, 불면, 가슴이 두근거리고 잘 놀라는 등의 신경쇠약 증상이 있을 때 : 당근 대추 호두 김 연밥살 메밀 목이버섯 깨 토마토 잣 소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 조개류
6) 변비가 있을 때 : 복숭아씨 사과 배추 미나리 귤껍질 깨 파래 다시마 미역
7) 어혈로 인해 하복통이 있을 때 : 복숭아씨 생강 연밥살 연부리 목이버섯 토란
8) 식사 후 속이 답답하고 소화가 잘 안될 때 : 사과 무 배추 대추 귤 껍질 목이버섯 파래 다시마 미역 토란 매실 후추 부추
9) 위장이 약해 소화가 잘 안되고 입맛이 없을 때 : 사과 무 배추 생강 대추 귤껍질 모과 쑥 밤 김 연뿌리 율무 쌀 콩 깨 토란 잣 앵두 수수 냉이 당근 소고기 염소고기 닭고기 잉어
10) 고혈압이 있을 때 : 미나리 김 녹두 감
11) 자궁출혈 하혈 등이 멎지 않을 때 : 가지 양파 쑥 뽕나무껍질 보리 미나리 소고기 염소고기
12) 유방이 뭉치거나 염증이 있어 붓고 아플 때 : 가지 율무
13) 당뇨병이 있을 때 : 녹두 율무
14) 허열(虛熱)이 많이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울 때 : 시금치 배추 파래 다시마 미역 조개류
15) 감기몸살이 계속되며 몸이 떨리고 추울 때: 양파 생강 귤껍질 도라지 더덕 쑥 소고기
16) 몸(손 발 허리 등 아랫배)이 차고 손발이 잘 저릴 때 : 생강 쑥 개 토마토 잣 소고기 염소고기 잉어 꿀
17) 방광이 약해져 소변이 너무 자주 마려울 때: 연밥살 잣 소고기 염소고기 잉어 조개류
18) 기미 주근깨가 생기고 피부가 거칠어 질 때(피부미용을 위해) : 사과 호도 개 토란 잣 앵두 소고기 미역 오이 율무 콩나물 당근 벌꿀
활동지-5 사후 설문지
v표 해 주세요.
1-절대 아니다, 2-아니다, 3-보통, 4-조금 그렇다, 5-그렇다
1
2
3
4
5
1
산후 우울증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해 줄 수 있습니까?
2
산후 우울증이 다가 왔을 때 효과적으로 대처 할 자신감이 있습니까?
3
전체적인 프로그램에 만족하셨습니까?
4
프로그램에 개선할 점이나 소감을 적어주세요.
9. 참고문헌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산후우울과 어머니로서의 적응과의 관계연구. 이화간호학회지
서울적십자병원 신경정신과 홍종문·송수식. 산전 및 산후의 정서변화 연구 433,437. 신경정신의학 25호
이선옥·김미옥·안숙희·조영란(2004). 산후운동이 산욕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여성견강간호학회지 제10권 제1호
□ □ □ □ □
▣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여러분이 어떻게 반응하였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맞으면 해당되는 칸에 V표 하세요.
25. 대화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을 분산시키는 경향이 있다.
□ □ □ □ □
26. 다른 사람이 나에게 표현하는 느낌을 잘 믿고 받아들이는 편이다.
□ □ □ □ □
27. 정직하게 ‘예’ 혹은 ‘아니오’라고 말한다.
□ □ □ □ □
28. 내가 말하는 내용을 듣는 사람이 이해 못해도 상관하지 않는 편이다.
□ □ □ □ □
29. 일관성이 없고 상황에 맞지 않는 말을 하는 경향이다.
□ □ □ □ □
30. 나의 생각을 분명하게 밝히며, 해야 할 말을 자신있게 하는 편이다.
□ □ □ □ □
31. 까다로운 일에 대해 결정하기를 귀찮아한다.
□ □ □ □ □
32. 솔직하지 못하고 무책임하게 말을 하는 편이다.
□ □ □ □ □
33. 행동할 때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편이다.
□ □ □ □ □
34. 불평불만이 많은 편이다.
□ □ □ □ □
35. 미니 생각하지 않고 되는대로 말하는 경향이 있다.
□ □ □ □ □
36. 상대방의 느낌을 잘 이해하는 편이다.
□ □ □ □ □
37. 상대방을 비난하는 말을 자주 한다.
□ □ □ □ □
38. 다른 사람에게 관심이나 따뜻한 마음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 □ □ □ □
39. 지나치게 합리적이며 객관적인 경향이 있다.
□ □ □ □ □
40. 거절하는 말을 잘 못하는 편이다.
□ □ □ □ □
41. 윗사람이 꾸중을 하면 성이 나서 일일이 대꾸를 한다.
□ □ □ □ □
42. 나 자신의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 □ □ □ □
43. 내가 무슨 말을 할 때, 상대방이 화를 낼까 많이 염려한다.
□ □ □ □ □
44. 다른 사람이 나에게 충고하려고 하면 나도 상대방의 결점을 찾아내어 공격한다.
□ □ □ □ □
45. 다른 사람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는 편이다.
□ □ □ □ □
46. 다른 사람의 대화에 끼어들어 관심을 받으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 □ □ □ □
47. 상대가 어떻게 생각하든지, 할 수 없는 일은 못한다고 거절하는 편이다.
□ □ □ □ □
48. 화가 나도 무조건 참는다.
□ □ □ □ □
49 다른 사람으로부터 모욕을 당하면 당장 그 자리에서 상대를 골려준다.
□ □ □ □ □
회유
비난
초이성
산만
일치
□
□
□
□
□
활동지-4 산후 건강 식이요법
산후 건강 식이요법
1) 소변이 시원하지 않거나 손, 발, 얼굴 등에 부종이 있을 때 : 수박 포도 복숭아잎 배추 미나리 녹두 옥수수뿌리 오이 연뿌리 뽕나무잎 율무 콩 보리 검은콩 팥 메밀 파래 다시마 미역 토란 수수 대싸리씨 비파잎 잉어 붕어 가물치 미꾸라지 대합 호박
2) 임신 및 분만으로 인해 기력(氣力)이 손상되고 출혈이 심해 몸이 허약해 졌을 때(기운이 없고 피로가 심하며, 허리 및 다리에 힘이 없거나 입맛이 없고, 식은땀이 많이 날 때) : 시금치 옥수수 대추 호도 더덕 땅콩 밤 연밥살 찹쌀 콩 목이버섯 개 잣 소고기 염소고기 닭고기 잉어 조개류 해삼 고막 오징어 호박 아욱 해삼 소라 머루 대구
3) 어혈이나 담은 등을 인하여 전신(허리 무릎 손 발 어깨 목)의 관절 및 근육이 쑤시고 아플 때(산후풍(産後風)) : 생강 무 배추 시금치 녹두 생강 귤껍질 모과 쑥 뽕나무가지 율무 목이버섯 파래 다시마 미역 대싸리씨 잉어 해삼 호박
4) 젖이 잘 나오게 하려면 : 파 상추 호도 땅콩 콩 팥 깨 잣 소고기 돼지족발 잉어 붕어 전복 꿀 완두콩 딸기
5) 불안, 초조, 우울, 불면, 가슴이 두근거리고 잘 놀라는 등의 신경쇠약 증상이 있을 때 : 당근 대추 호두 김 연밥살 메밀 목이버섯 깨 토마토 잣 소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 조개류
6) 변비가 있을 때 : 복숭아씨 사과 배추 미나리 귤껍질 깨 파래 다시마 미역
7) 어혈로 인해 하복통이 있을 때 : 복숭아씨 생강 연밥살 연부리 목이버섯 토란
8) 식사 후 속이 답답하고 소화가 잘 안될 때 : 사과 무 배추 대추 귤 껍질 목이버섯 파래 다시마 미역 토란 매실 후추 부추
9) 위장이 약해 소화가 잘 안되고 입맛이 없을 때 : 사과 무 배추 생강 대추 귤껍질 모과 쑥 밤 김 연뿌리 율무 쌀 콩 깨 토란 잣 앵두 수수 냉이 당근 소고기 염소고기 닭고기 잉어
10) 고혈압이 있을 때 : 미나리 김 녹두 감
11) 자궁출혈 하혈 등이 멎지 않을 때 : 가지 양파 쑥 뽕나무껍질 보리 미나리 소고기 염소고기
12) 유방이 뭉치거나 염증이 있어 붓고 아플 때 : 가지 율무
13) 당뇨병이 있을 때 : 녹두 율무
14) 허열(虛熱)이 많이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울 때 : 시금치 배추 파래 다시마 미역 조개류
15) 감기몸살이 계속되며 몸이 떨리고 추울 때: 양파 생강 귤껍질 도라지 더덕 쑥 소고기
16) 몸(손 발 허리 등 아랫배)이 차고 손발이 잘 저릴 때 : 생강 쑥 개 토마토 잣 소고기 염소고기 잉어 꿀
17) 방광이 약해져 소변이 너무 자주 마려울 때: 연밥살 잣 소고기 염소고기 잉어 조개류
18) 기미 주근깨가 생기고 피부가 거칠어 질 때(피부미용을 위해) : 사과 호도 개 토란 잣 앵두 소고기 미역 오이 율무 콩나물 당근 벌꿀
활동지-5 사후 설문지
v표 해 주세요.
1-절대 아니다, 2-아니다, 3-보통, 4-조금 그렇다, 5-그렇다
1
2
3
4
5
1
산후 우울증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해 줄 수 있습니까?
2
산후 우울증이 다가 왔을 때 효과적으로 대처 할 자신감이 있습니까?
3
전체적인 프로그램에 만족하셨습니까?
4
프로그램에 개선할 점이나 소감을 적어주세요.
9. 참고문헌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산후우울과 어머니로서의 적응과의 관계연구. 이화간호학회지
서울적십자병원 신경정신과 홍종문·송수식. 산전 및 산후의 정서변화 연구 433,437. 신경정신의학 25호
이선옥·김미옥·안숙희·조영란(2004). 산후운동이 산욕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여성견강간호학회지 제10권 제1호
키워드
추천자료
(프로포절)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제안서
NSVD 산모의 Case study
[청소년약물남용][청소년약물중독][약물남용][약물중독][청소년문제][청소년][약물]우리나라...
생활체육 (개념, 필요성, 가치, 프로그램, 발전방안)
초등 고학년 왕따 피해자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중증장애인의 생활문제를 구체적으로 세분화하고 욕구로 전환시켜 욕구충족을 위한 프로그램...
[간접흡연][성인][유아]간접흡연의 개념, 간접흡연의 인식도, 간접흡연의 위험성, 간접흡연과...
[치매] 치매의 개념(정의)과 원인 및 진단, 치매증상과 치료 및 예방, 치매유병률
건강다이어트(기말고사)비만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운동 요법과 행동치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공동배분사업계획서 - 농촌지역사회의 새싹(초등생)들과 느티나무(어르신...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부모 역할에 있어서 반응성 애착장애의 원인과 애착관계 치료프로그...
청년기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발달 특성에 관해 설명하고, 최근 문제시되는 학교폭력 문제...
(의료사회사업론 A형) 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개요, 자원 현황, 프로그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