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루소의 교육사상>
1.루소와 에밀
(1)1부 : 교육의 기본원리, 유아기(0-2세)
(2)2부 : 아동기(2-12세)
(3) 제3부 : 소년기 (12~15세)
(4) 제4부 : 청년기 (15~20세)
(5) 제5부 : 여성교육론, 결혼
2. 자연주의 교육사상
(1) 교육의 목표
(2) 교육의 내용
(3) 교육 방법
3. 소극 교육론
4.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참고자료 : <에밀 서문>
1.루소와 에밀
(1)1부 : 교육의 기본원리, 유아기(0-2세)
(2)2부 : 아동기(2-12세)
(3) 제3부 : 소년기 (12~15세)
(4) 제4부 : 청년기 (15~20세)
(5) 제5부 : 여성교육론, 결혼
2. 자연주의 교육사상
(1) 교육의 목표
(2) 교육의 내용
(3) 교육 방법
3. 소극 교육론
4.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참고자료 : <에밀 서문>
본문내용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어른들이 알아야 할 것에 대해서만 열중하고 있다. 그들은 언제나 어린이 속에서 어른을 찾고 어른이 되기 전의 어린이의 모습을 생각하지 않는다. 이것이야말로 내가 정성을 쏟아 연구한 결과이다. 나는 비록 나의 방법이 모두 공상적이고 잘못되었다 해도 나의 관찰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면 연구를 계속할 수 있다. 내가 해야 할 방법이 잘못되었다 해도 내가 다루는 주제에 대해서는 옳다고 믿는다. 먼저 당신의 학생들을 좀더 잘 관찰해 보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겠다. 왜냐하면 당신은 전혀 그 학생들을 알지 못한다는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그런 시각에서 이 책을 읽는다면 이 책은 전혀 무익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 책의 체계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다름 아닌 자연의 진행일 뿐인데, 이것이 독자를 난처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 때문에 사람들은 나를 공격할 것이며 또한 그들이 잘못되었다고 생각지 않을 것이다. 독자들은 교육론을 읽는다기보다 한 공상가의 교육에 대한 꿈을 읽는 기분이 들 것이다. 어떻게 할까 나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좇아 쓰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나의 의견에 따라 쓰고 있다. 나는 다른 사람과 꼭 같이 보지는 않는다. 사람들은 그 점에 대해 오래 전부터 나를 비난해 왔다. 그러나 내가 다른 사람의 눈을 통해 보거나, 다른 사람의 생각을 따라 움직이거나 하는 것으로 내가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아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의 생각만을 고집하지 않고 자기만이 세상 누구보다도 현명하다고 생각지 않는 것이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의견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자기 의견에 의심을 품는 일이다
이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일의 전부이며 또 현재 내가 하고 있는 일이다. 설사 때로는 단정적인 말투로 이야기를 한다 해도 그것은 독자에게 자기 의견을 주입시키려는 뜻이 아니고 자기의 생각대로 독자에게 전하는 것뿐이다. 내가 전혀 의심하지 않는 것을 어떻게 의문형으로 제안할 수 있을까. 나는 내 마음에 떠오른 생각을 정확하게 말한다.
실행 가능성이 있는 것을 제안하라고 사람들은 끊임없이 말한다. 이는 마치 지금 하고 있는 것을 그대로 하라고 하는 것이나 다름없고 적어도 현존하는 악과 양립하는 선을 제안하라는 말과 같다. 이와 같은 계획은 어떤 문제에서는 나의 계획보다는 훨씬 비현실적이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절충주의는 선이 손상될 뿐 악은 개선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오히려 모든 것에 있어 현행 제도에 따르는 것이 좋은 제도를 반쯤 채용하는 것보다는 낫다고 본다. 그렇게 하면 인간의 모순은 훨씬 적어질 것이다. 인간은 동시에 두 개의 반대 목표를 세울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종류의 계획에도 생각해야 할 것이 두 가지 있다. 첫째는 그 계획이 절대적으로 선이어야 하고, 둘째는 실행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첫W의 것은 그 계획이 그 자체에 있어 인정되어야 하고 실행에 옮겨지기 위해서는 그 좋은 점이 그 사실의 본질에 부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지금 제안한 교육이 인간에게 적합한 것이며 인간의 마음에 잘 적응된다면 좋은 것이다
두 번째 고찰은 특정한 상황에서의 여러 관계에 의해 변화한다. 그것은 그 사실과의 우발적인 관계로 보기 때문에 필연적이라기보다는 무한히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랏 어떤 교육은 스위스에서는 실시되나 프랑스에서는 어렵고, 또 다른 교육은 평민에게는 적합하나 귀족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행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무수한 사정에 의존하기 때문에 그것은 어떤 나라, 어떤 계층의 사람에게 개별적으로 그 방법을 적용해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개별적인 적용은 나의 주제의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며 내 계획 속에는 없는 것이다. 나의 모든 관심사는 인간이 태어나는 곳이면 어디서나 나의 계획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 이상은 약속할 수 없다.
참고문헌-------------------------------------------------------------
교육의 역사와 철학, 박의수 외, 동문사 2007
교육사상의 역사, 임경환 , 집문당 2009
교육사 및 교육철학, 곽덕영 김미화, 敎文社, 1999
서양교육사상사, 주영훈, 양서원 1995
교육사상사, 신득렬, 학지사, 2000
루소의 자연교육 사상, 안인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2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박선영, 인하대 교육대학원, 2004
루소의 교육론 에밀, 1999, 안인희, 양서원
이 책의 체계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다름 아닌 자연의 진행일 뿐인데, 이것이 독자를 난처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 때문에 사람들은 나를 공격할 것이며 또한 그들이 잘못되었다고 생각지 않을 것이다. 독자들은 교육론을 읽는다기보다 한 공상가의 교육에 대한 꿈을 읽는 기분이 들 것이다. 어떻게 할까 나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좇아 쓰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나의 의견에 따라 쓰고 있다. 나는 다른 사람과 꼭 같이 보지는 않는다. 사람들은 그 점에 대해 오래 전부터 나를 비난해 왔다. 그러나 내가 다른 사람의 눈을 통해 보거나, 다른 사람의 생각을 따라 움직이거나 하는 것으로 내가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아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의 생각만을 고집하지 않고 자기만이 세상 누구보다도 현명하다고 생각지 않는 것이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의견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자기 의견에 의심을 품는 일이다
이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일의 전부이며 또 현재 내가 하고 있는 일이다. 설사 때로는 단정적인 말투로 이야기를 한다 해도 그것은 독자에게 자기 의견을 주입시키려는 뜻이 아니고 자기의 생각대로 독자에게 전하는 것뿐이다. 내가 전혀 의심하지 않는 것을 어떻게 의문형으로 제안할 수 있을까. 나는 내 마음에 떠오른 생각을 정확하게 말한다.
실행 가능성이 있는 것을 제안하라고 사람들은 끊임없이 말한다. 이는 마치 지금 하고 있는 것을 그대로 하라고 하는 것이나 다름없고 적어도 현존하는 악과 양립하는 선을 제안하라는 말과 같다. 이와 같은 계획은 어떤 문제에서는 나의 계획보다는 훨씬 비현실적이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절충주의는 선이 손상될 뿐 악은 개선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오히려 모든 것에 있어 현행 제도에 따르는 것이 좋은 제도를 반쯤 채용하는 것보다는 낫다고 본다. 그렇게 하면 인간의 모순은 훨씬 적어질 것이다. 인간은 동시에 두 개의 반대 목표를 세울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종류의 계획에도 생각해야 할 것이 두 가지 있다. 첫째는 그 계획이 절대적으로 선이어야 하고, 둘째는 실행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첫W의 것은 그 계획이 그 자체에 있어 인정되어야 하고 실행에 옮겨지기 위해서는 그 좋은 점이 그 사실의 본질에 부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지금 제안한 교육이 인간에게 적합한 것이며 인간의 마음에 잘 적응된다면 좋은 것이다
두 번째 고찰은 특정한 상황에서의 여러 관계에 의해 변화한다. 그것은 그 사실과의 우발적인 관계로 보기 때문에 필연적이라기보다는 무한히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랏 어떤 교육은 스위스에서는 실시되나 프랑스에서는 어렵고, 또 다른 교육은 평민에게는 적합하나 귀족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행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무수한 사정에 의존하기 때문에 그것은 어떤 나라, 어떤 계층의 사람에게 개별적으로 그 방법을 적용해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개별적인 적용은 나의 주제의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며 내 계획 속에는 없는 것이다. 나의 모든 관심사는 인간이 태어나는 곳이면 어디서나 나의 계획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 이상은 약속할 수 없다.
참고문헌-------------------------------------------------------------
교육의 역사와 철학, 박의수 외, 동문사 2007
교육사상의 역사, 임경환 , 집문당 2009
교육사 및 교육철학, 곽덕영 김미화, 敎文社, 1999
서양교육사상사, 주영훈, 양서원 1995
교육사상사, 신득렬, 학지사, 2000
루소의 자연교육 사상, 안인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2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박선영, 인하대 교육대학원, 2004
루소의 교육론 에밀, 1999, 안인희, 양서원
추천자료
루소의 철학사상
루소 Rousseau, Jean Jacques (1712-1778)
*루소의 교육사상과 에밀에 나타난 교육의 특징 및 루소가 미친 교육적 영향
(2006 방송대 세계의 역사) 루소의 사회계약설에서 루소의 명제요약 및 지신의 입장에 대해 ...
루소의「인간 불평등 기원론」을 읽고, 불평등 기원에 대한 나의 견해
루소(Jean Jacques Rousseau)
루소의 교육철학과 루소의 에밀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플라톤과 키케로,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에라스무스와 루터,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유아교육사상(유아교육철학), 퀸틸리아누스, 루터, 로크 유아교육사...
[인감심리의 여행] 유전론과 환경론의 분석 (로크와 루소)
[서구정치사상사] 로크와 루소의 사회계약에 관한 비교 - 로크와 루소 이론의 기본적 설정(인...
[칸트 도덕교육]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 칸트의 생애와 교육사상(교육관,교육론), ...
[루소] “에밀” 제5부. 결혼 그 두 번째 이야기 - 루소가 보는 바람직한 여성상, 루소가 바라...
[보육학개론] 현대 아동중심 보육사상에 영향을 미친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