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北韓연구 방법론 재론 - 강정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北韓연구 방법론 재론 - 강정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내제적 선험적 구분의 타당성
3. 내재적 접근과 외재적 접근을 구분하는 기준의 모호성
4. 내재적․비판적 접근방법 : “내재적 작동논리”
5. ‘구조’와 ‘현상’의 문제
6. 맺음말

본문내용

필요!
6. 맺음말
* 필자는 내재적 접근법과 외재적 접근법이 각각 이데올로기를 기준으로 하는 단일한 시각으로 환원될 수 없으며, 양자가 상호 보완적이면서도 모순적인 성격을 가진다고 본다.
ex. “기독교인들이 교회를 성대하게 짓고 거기에 여러 가지 호화로운 장식을 가미하는 행위”에 대해 내재적긍정적 접근, 경제학적 접근, 예술적 접근, 내재적비판적 접근, 외재적비판적 접근 등 의 형태로 관찰자의 시각과 해석에 따라 다양하고 상이한 해석이 가능하다.
그 행위가 발생한 상황, 행위의 본질적 속성, 행위자의 의도, 행위의 결과, 해석자가 그 행위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등에 따라서 동일한 행위가 달리 해석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해석이 나름대로의 입장과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어떠한 사회현상에 대해서 다양한 해석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런 해석들은 나름대로의 설득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서로 모순됨이 없이 공존하거나 보완적일 수 있고, 일부는 직접적으로 모순되기도 하며, 일부는 잠재적으로 모순되는 등 상호 복잡한 관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다.
⇒ 이러한 시각을 북한사회를 바라볼 때도 똑같이 적용시킬 수 있음.
...[동일한 문화권 내에서건 이질적인 문화권 사이에서건] 행위(action)는 궁극적으로 이중적이며, 외부적인 관찰자가 볼 수 있는 것과 행위자가 스스로 이해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위자 스스로 이해하는 바가 아니라, 바로 이러한 이중성(duality)이야말로 행위를 구별 짓는 것이다. 의도성(intentionality)이 아니라 이중성이야말로 사회과학 본연의 문제를 제기한다.
-한나 피트킨(Hanna F. Pitkin)
♣ 결론
인간의 이중성이야말로 인간의 행위를 비롯한 사회현상을 자연현상과 구별 짓는 특징.
즉 인간의 행위를 매개로 하여 발생한 사회현상은 자연과학과 같이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이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잡하고 모순적인 중층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사회현상에 대한 내재적 접근론과 외재적 접근론 중 어느 하나의 입장만을 고집하지 말고, 우리는 행위자와 관찰자의 두 입장에서 동시에 보아야 한다. 따라서 북한사회에 대한 구체적인 현상을 분석할 때도 각 접근법에 따른 해석을 고집한 나머지 그와 모순된 해석을 왜곡하거나 무시하지 말고, 이러한 두 입장에 따른 해석과 설명이 서로 어떻게 엮어져 복잡하고 중층적인 현실을 구성하고 있는가를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5.20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8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