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 험 목 적
(2) 배 경
(3) 실 험 기 구
(3) 실 험 기 구
(2) 배 경
(3) 실 험 기 구
(3) 실 험 기 구
본문내용
수평추에 따른 경사를 구한다.
6. 무게중심으로부터 경심고까지의 높이를 추정한다.
7. 3번부터 6번을 반복하여 경심고를 구하고 부체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 계산원리
우선 무게중심은 바닥으로부터의 가동추까지의 높이와 전체 무게에 대한 가동추무게와의 비, 또한 가동추의 무게이동에 대한 상수값인 A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w는 가동추의 무게, W는 전체 부선무게
의 관계식으로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일 때,
매 radian → degree를 radian으로의 환산치
∴ BM = GM+BG
** 유의사항
1. 부체를 지나친 경사가 되지 않도록 한다.
2. 실험 도중 횡 지지선 또는 중앙 막대를 건드리지 않는다.
3. 각도를 조심스럽게 읽는다.
4. 모형배가 실험 중 수조의 측벽에 닿지 않도록 한다.
** 부체의 안정 판별
1층 = 96.64 mm > BG = 76.440 mm ∴안정
2층 = 96.64 mm > BG = 82.074 mm ∴안정
3층 = 96.64 mm > BG = 87.708 mm ∴안정
4층 = 96.64 mm > BG = 93.342 mm ∴안정
5층 = 96.64 mm < BG = 98.986 mm ∴불안정
** 용어정리
1.부심 (center of Buoyancy, C) : 부체중에서 물에 잠긴부분의 무게 중심
2.부양면 (Plane of Floatation) : 부체의 일부가 수면위에 있을 때 수면에 의해 절 단 되었다고 생각되는 단면
3. 흘수 (吃水, Draft 또는 Draught, h) : 부양면에서 부체의 최하단까지의 깊이.
6. 무게중심으로부터 경심고까지의 높이를 추정한다.
7. 3번부터 6번을 반복하여 경심고를 구하고 부체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 계산원리
우선 무게중심은 바닥으로부터의 가동추까지의 높이와 전체 무게에 대한 가동추무게와의 비, 또한 가동추의 무게이동에 대한 상수값인 A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w는 가동추의 무게, W는 전체 부선무게
의 관계식으로 A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일 때,
매 radian → degree를 radian으로의 환산치
∴ BM = GM+BG
** 유의사항
1. 부체를 지나친 경사가 되지 않도록 한다.
2. 실험 도중 횡 지지선 또는 중앙 막대를 건드리지 않는다.
3. 각도를 조심스럽게 읽는다.
4. 모형배가 실험 중 수조의 측벽에 닿지 않도록 한다.
** 부체의 안정 판별
1층 = 96.64 mm > BG = 76.440 mm ∴안정
2층 = 96.64 mm > BG = 82.074 mm ∴안정
3층 = 96.64 mm > BG = 87.708 mm ∴안정
4층 = 96.64 mm > BG = 93.342 mm ∴안정
5층 = 96.64 mm < BG = 98.986 mm ∴불안정
** 용어정리
1.부심 (center of Buoyancy, C) : 부체중에서 물에 잠긴부분의 무게 중심
2.부양면 (Plane of Floatation) : 부체의 일부가 수면위에 있을 때 수면에 의해 절 단 되었다고 생각되는 단면
3. 흘수 (吃水, Draft 또는 Draught, h) : 부양면에서 부체의 최하단까지의 깊이.
추천자료
유아체육 현황분석 및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
지방의 산화
압밀시험-발표자료
지정폐기물 용출시험법
채만식 문학의 언어세계와 풍자성에 관한 고찰
납땜 요령
내풍설계에 대하여
방통대 <사회복지조사론 과제물 b형> 양적조사에서의 측정도구 타당도에 대해 논하시오.
신호 및 시스템 프로젝트 Filter의 주파수 응답 plotter 설계
《권력 의무 자유》
흙의 다짐시험(Compaction Test) JSF T 711-1990
[기기분석] 열분석법 중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측정
애착이론가 보울비와 에인스워스에 대해 조사
전류귀환 바이어스 회로 설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