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이해 답사보고서] 수안역 지하철역, 동래부 동헌, 송공단, 복처고분, 복천박물관, 동래읍성, 서장대, 향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의 이해 답사보고서] 수안역 지하철역, 동래부 동헌, 송공단, 복처고분, 복천박물관, 동래읍성, 서장대, 향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데 이 이유는 공자가 은행나무 밑에서 제자를 가르쳤기 때문이라 한다. 이것을 보고 가르치는 장소까지 따라 하면서 배우고 싶었는지 정말 이런것은 잘못된 것 이라 생각했다. 향교는 일종의 사립 중등학교로서 역할을 했다고 한다. 구성은 대향( 공자의 위패를 모시는 곳), 동문 (설총 최치원 정몽주 등 18명의 위패를 모시는 곳) 서문(제에 쓰는 음식을 하는곳) 으로 구성되고 명륜당이라는 일종의 강의실이 있었다. 명륜당이라는 뜻은 인간의 윤리를 밝게 깨우친다는 뜻 이라 한다 향교에는 16세 이상만 입학이 가능했고 초기에는 양반만 입학할 수 있었지만 조선후기 평민자녀도 입학이 가능했다 한다. 역시 교육에 있어서도 조선시대사회는 차별을 두었을 정도로 폐쇄적인 사회였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향교를 마지막으로 답사는 끝이 났다. 동래를 한 바퀴 돌았다 할수있을 정도의 코스엿고 날씨도 무척이나 더웠지만 답사가 끝난 후 내가 역사를 보고 느낀것 은 그이상의 보람을 가져다 주었다 생각한다. 사실 동래는 근처에 있지만 따로 가볼 만큼의 시간을 내지 않았는데 이번 답사를 계기로 역사의 현장을 직접 가서 보고 설명을 듣고 하니 역사를 배운다는 것이 꼭 필요하다 생각되었다.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5.23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9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