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직관의 개념
2. 성직관
3. 전문직관
4. 노동직관
5. 공직관
2. 성직관
3. 전문직관
4. 노동직관
5. 공직관
본문내용
인식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공직관은 교직이 공공적 사업임을 전제하는 것이므로 국공립ㆍ사립의 모든 교원에게 적용되는 교직관이다. 공직관에 따르면 교직은 아직도 범속직과 구별되고 있는데, 이는 공직관이 갖는 성직관과의 관계를 말해주는 것이다. 즉, 공직관의 본질이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라는 점을 고려할 때, 교직에 대한 사명감이나 신성성의 보존은 성직관과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공직관은 성직관과 완전히 결별한 전혀 새로운 교직관으로 보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민주주의 체제 아래의 교사는 국민전체의 봉사자이기 때문에 권력의 맹종자가 되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인의 자의나 집단의 명령에 따라서 교육하고 행동하지 않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공직자인 교사에게는 국민 속에서 국민에게 봉사하는 공무원 윤리가 요청된다.
공직관은 성직관에 못지않은 무거운 책임과 의무를 수반하게 되었다. 교사는 공직자로서 국민을 위해서 봉사할 의무, 품위를 유지할 의무, 직무에 충실할 의무 등 수많은 의무에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각종 의무 중에서는 엄격한 도덕성, 윤리성, 청렴성 등을 또한 요구되므로, 자연인으로서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의 교사의 기본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공직관은 성직관에 못지않은 무거운 책임과 의무를 수반하게 되었다. 교사는 공직자로서 국민을 위해서 봉사할 의무, 품위를 유지할 의무, 직무에 충실할 의무 등 수많은 의무에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각종 의무 중에서는 엄격한 도덕성, 윤리성, 청렴성 등을 또한 요구되므로, 자연인으로서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의 교사의 기본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