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구제절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상구제절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비상구제절차〃
제1절 재심.......................................................................................................................... 1
Ⅰ. 재심의 의의와 대상 및 사유............................................................................ 1
1. 재심의 의의.............................................................................................................. 2
2. 재심의 대상................................................................................................................ 2
3.재심사유....................................................................................................................... 3
Ⅱ. 재심개시절차와 재심심판절차...........................................................................4-7
1. 재심개시절차.............................................................................................................4-6
2. 재심심판절차.............................................................................................................7-9
제2절 비상상고....................................................................................................................9
Ⅰ. 지상상고의 의의와 대상........................................................................................9
1. 비상상고의 의의........................................................................................................9
2. 비상상고의 대상........................................................................................................10
Ⅱ. 비상상고의 이유와 절차.........................................................................................11
1. 비상상고의 이유.........................................................................................................11
2. 비상상고의 절차.........................................................................................................12
〃특별형사절차〃
제1절 약식절차......................................................................................................................19
Ⅰ. 약식절차의 의의..........................................................................................................19
1. 개념...................................................................................................................................19
2. 구별개념..........................................................................................................................19
3. 기능...................................................................................................................................19
Ⅱ. 약식명령의 청구...........................................................................................................19
1. 청구의 대상....................................................................................................................19
2. 청구의 방식....................................................................................................................19
Ⅲ. 약식절차의 심판............................................................................................................20
1. 법원의 심리.....................................................................................................................20
2. 공판절차에의 이행.......................................................................................................20
3. 약식명령...........................................................................................................................20
Ⅳ. 정식재판의 청구.............................................................................................................21
1. 정식재판청구의 의의....................................................................................................21
2. 정식재판의 청구권자....................................................................................................21
3. 정식재

본문내용

조금의 종류
범죄피해에 대한 국가의 구조금은 유족구조금과 장해구조금으로 구분한다.
(2)관할기관
구조금의 지급에 관한 사항을 심의, 결정하기 위하여 지방검찰청에 범죄피해자 구조심의 회를 둔다(동법 제12조 2항)
(3) 지급신청
범죄피해발생을 안 날로부터 1년 또는 발생한 날로부터 5년이 경과한 때는 지급신청을 할 수 없다(동법 제 12조 2항)
(4)지급결정
구조신청이 있는 때는 심의회는 신속하게 구조금을 지급하거난 또는 지급하지 아니한다 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동법 제13조).
〃출제경향〃
약식절차【03.법원주사보, 97.7급검찰】
약식명령【90(93.94.98.00).9급검찰, 91(99)경장, 04.행시, 90(91.98.00)법원서기보, 02경사 99. 법원사무관】
즉결심판【89.(93)경위 93.경장, 00.9급검찰, 04.행시, 90.(00)법원주사보】
약식명령과 즉결심판의 비교 【02.7급검찰, 02.경감】
배상명령 【94.(95.01)7급검찰, 83.(89.92.97)법원주사보, 99.법원사무관, 04.행시】
〃기출문제〃
1. 약식명령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00.9급 검찰】
① 공소제기와 동시에 서면으로 청구하여야 한다.
② 약식명령을 청구할 수 있는 사건은 지방법원 관할에 속하는 사건으로서 벌금.과료 또는 몰수에 처할 수 있는 사건에 한한다.
③ 약식명령에 대한 정식재판청구의 경우에는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④ 약식명령이 확정된 경우 이는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므로 기판력과 집행력을 갖는다.
정답 및 해설 ③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에 대하여는 약식명령의 형보다 중한 형을 선고하지 못한다(제457조의 2).
2. 약식명령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99. 경장】
① 약식명령으로 할 수 있는 형의 종류로는 벌금.과료.몰수이다.
② 약식명령에 대한 정식재판청수시간은 고지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이다.
③ 약식명령은 정식재판의 확정에 의해 실효된다.
④ 약식명령은 관할경찰서장이 청구한다.
정답 및 해설 ④ 약식명령은 검사가 청구한다.
3. 약식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04. 행시】
① 약식명령청구의 대상은 지방법원의 관할에 속하는 벌금.과료.몰수에 처할 수 있는 사건이다.
② 약식명령청구에 대해서는 공소장일본주의가 적용되지 않는다.
③ 공소가 취소되더라도 약식명령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④ 형면제판결이 예상되면 약식명령이 청구되더라도 법원은 공판절차로의 이행결정을 내린다.
정답 및 해설 ③ 공소가 취소되면 형식재판하여야 하므로 약식명령을 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공판절차로 이행시켜야 한다.
4. 약식명령에 대하여 정식재판을 청구한 피고인이 현역군인으로 입대하였음이 밝혀진 경우 법원은? 【00. 법원서기보】
① 군사법원으로 이송한다.
② 정식재판청구를 기각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
③ 관할위반의 판결을 한다.
④ 피고인의 진술 없이도 판결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그대로 진행한다.
정답 및 해설 ①형사사건의 군사법원에의 이송에 관한 형사소송법 제16조의 2가 약식명령에도 준용되므로 약식절차에서 바로 군사법원으로 이송한다.
5. 약식절차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03. 법원주사보】
①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한 경우에도 약식명령의 형보다 중한 형을 선고할 수 있다.
② 정식재판의 청구는 항소심판결 선고 전까지 취하할 수 있다.
③ 정식재판절차의 공판기일에 정식재판을 청구한 피고인이 공판기일 소환장을 송달받고도 2회 연속 출석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피고인의 진술 없이 판결을 할 수 있다.
④ 약식명령에서는 추징의 처분을 할 수 없다.
정답 및 해설 ③
③2회 불출석에 의한 궐석재판이 약식명령에 정식재판청구시에도 준용된다(제458조→제365조 준용). ② 정식재판의 청구는 제1심판결 선고 전까지 취하할 수 있다(제454조).
6. 즉결심판절차에 관한 다음 기술 중 가장 타당한 것은? 【96.9급 검찰】
① 청구권자는 검사이다.
② 심리는 공개된 장소에서 한다. 단,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는 경찰서에서 한다.
③ 관할법원은 지방법원 또는 지원의 판사나 시.군법원의 판사이다.
④ 모든 즉결심판에서 피고인의 출석은 개정요건이 아니다.
정답 및 해설 ③
③ 법원조직법 제33조, 즉결심판에관한절차법 제3조의2 ⑴ 청구권자는 관할경찰서장 또는 관할해양경찰서장이다(즉결심판에관한절차법 제3조). ② 심리는 경찰관서 이외의 공개된 장소에서 행한다(동법 제7조 제1항). ④ 피고인의 출정은 개정의 요건이나 벌금 또는 과료를 선고하는 경우에는 결석재판이 허용된다(동법 제8조의 2).
7. 약식명령과 즉결심판과의 공통점은? 【02.경감】
① 관할법원
② 정식재판 청구기간
③ 정식재판 청구권자
④ 청구대상 사건
정답 및 해설 ② 약식명령은 고지를 받은 날로부터 7일 이내, 즉결심판은 선고 또는 고지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정식재판청구서를 제출한다.
8. 다음 중 형사배상명령제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97.법원주사보】
① 배상명령의 대상이 되는 손해는 범죄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직접적인 물적 피해, 치료비손해,위자료 등이다.
② 배상명령으로 인하여 공판절차가 현저히 지연될 우려가 있는 때에는 법원은 배상명령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피해자는 제1심 또는 제2심 공판의 변론종결시까지 사건이 계속된 법원에 배상을 신청할 수 있다.
④ 배상명령에도 가집행선고를 붙일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① 피고사건의 범죄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직접적인 물적 피해 및 치료비손해의 배상을 명할 수 있다(소송측진등에관한특례법 제25조 제1항). 위자료청구는 허용되지 않는다.
주요 참고문헌 및 인용 문헌
강구진 형사소소법 원론 학연사(1982)
김희옥 판례형법 고시계(1997)
백형구 형사소송법 강의 박영사(2002)
배종대.이상구 형사소송법 홍문사(2002)
신양균 형사소송법 법문사(2001)
신현주 형사소송법 박영사(1999)
이재상 형사소송법 박영사(2002)
정덕홍 형사소송법 50선 문성(2001)
차용석 형사소송법연구 박영사(1983)
대법원 판례공보. 1990-2003
기타: 지난 11년간 각종 기출 문제
  • 가격3,4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5.05.24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97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