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손으로 만든 책
제2장 구텐베르크, 논란의 발명자
제3장 인쇄술의 발달
제4장 검열의 시대
제5장 최고의 책
제2장 구텐베르크, 논란의 발명자
제3장 인쇄술의 발달
제4장 검열의 시대
제5장 최고의 책
본문내용
도 위본의 발전은 독재정치의 무능을 일깨우고 다양한 권한을 이양하는 데 위력을 발휘했다. 1718년, 마침내 책에 대해 어떠한 금지조치나 특권을 부여하지 않는다는 암묵적 승인이 이루어졌다. 1777년에는 이른바 단순한 승인제도 하는 출판 법규가 생겨나 고서(古書) 들을 공공재산에 포함시켰고, 마찬가지로 지방 서적상들의 활동에도 활력을 불어 넣었다. 계몽주의 시대에 위대한 작품으로는 디드로와 달랑베르가 편찬한 사상사의 결정판 <백과 전서>였다. 이 작품은 제목이 주는 강렬한 인상 말고도 중요한 선례를 남겼는데 이는 오로지 편집자들의 매우 적극적인 역할 분담을 통해서만 가능한 일이었다. 18세기는 대형 총서들에 대한 선호와 애서 취미가 발전했는데, 이는 우아함을 강조한 서적 예술이 꽃피는 근간이 되었다.
추천자료
동아시아 역사인식
헤로도토스의 `역사`를 읽고
신라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를 읽고
<유대인의 역사1> 정리
20세기 우리역사를 읽고 7개의 강의를 요약 정리한 레포트 자료(강만길 저)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을 읽고
유대인 이미지의 역사를 읽고서-유대인 이미지와 반유대주의 연구의 필요성
독도분쟁의 역사적 기원
[제3세계의역사와문화]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 - 서평
드라마 역사왜곡에 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의 역사와 발전방향
인지발달의 역사학습 적용
매춘의 역사 - 매춘의 기원, 전통시대 매춘(고려시대, 조선시대, 식민지 시대, 현대), 공창,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