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 (言論學)] 언론학의 개념(정의), 학문적 성격 및 체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론학 (言論學)] 언론학의 개념(정의), 학문적 성격 및 체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언론학이란 무엇인가

Ⅰ. 기본개념

Ⅱ. 학문적 성격

Ⅲ. 학문적 전개

Ⅳ. 학문적 체계

본문내용

분하지 않고 연구하는데 반하여 독일학파는 사적 커뮤니케이션 현상은 연구하지 않고 공적 커뮤니케이션 현상만을 광범위하게 연구한다.
그래서 독일학파의 언론학을 공시학이라 부른다. 공시학은 연극, 영화, 선전, 변론술, 서한, 포스트 등 공시현상 모두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4) 학문적 체계
언론학은 언론현상을 연구문제에 따라서 귀납적으로 연구할 수도 있고 연역적으로 연구할 수도 있다. 귀납적인 연구방법은 문제론적 연구방법이고, 연역적인 연구방법은 체계론적 연구방법이다.
언론학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과학을 지향하고 이론정립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고 있는 학문분야이다. 언론학이 언론학의 기본성격과 목적지향성을 존중한다면 귀납적인 연구방향보다는 연역적인 연구방향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
언론학이 학문적 체계를 제시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언론학의 학문적 체계가 가지고 있는 장점 몇 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학문의 과학적 구성을 가능케 한다.
(2) 개념적 혼란을 극복하는데 기여한다.
(3) 개별연구에 대한 분석적 기준을 제시한다.
(4) 연구의 편재성과 중복성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5) 새로운 연구 분야를 발견하는데 지침이 된다.
(6) 학문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론정립에 기여한다.
(7) 순수사회과학으로서의 학문적 정체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언론현상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는 학문적 체계는 어떻게 구성하는 게 바람직한가. <신문학이론>은 1974년에 언론학의 학문적 체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 바 있다.
(1) 송신자연구
(2) 내용연구
(3) 매체연구
(4) 수용자연구
(5) 시간적 상황연구
(6) 공간적 상황연구
(7) 효과연구
송신자연구는 다시 이념 제도 연구(거시적 분석), 조직 구조 기능 연구(중시적 분섞, 기자 기자직 연구(미시적 분석)로 세분되고, 내용연구는 상징연구, 문장연구, 의미연구로 세분된다. 학자에 따라서는 내용연구를 취재연구, 보도연구, 편집연구로 분류하기도 한다.
매체연구는 매체유형연구, 매체특성연구, 매체기술연구로 세분되고, 수용자연구는 수용동기연구, 수용행태연구, 수용효과연구로 세분되고, 시간적 상황연구(역사연구)는 언론사연구, 언론학사연구, 언론기술사연구로 세분된다.
공간적 상황연구(비교언론연구)는 선진국언론연구, 공산권언론연구, 동양언론연구로 세분되고, 효과연구는 인간변화연구, 조직변화연구, 사회변화연구로 세분될 수 있겠다.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6.03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