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coffee와바리스타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커피coffee와바리스타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는 왜 커피를 마실까?
-커피의 탄생
-커피의 전파와 이식 경로
-세계의 커피 문화
-우리나라의 커피 역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는 영업 전략을 잘 세워 대성공을 거두었는데, 주방장이 없어도 맥심 커피 2스푼, 프리마 2스푼, 백설탕 3스푼을 넣고 뜨거운 물만 부우면 완벽한 커피가 된다고 홍보한 것이다. 이는 그 당시 다방 주방장들의 횡포를 잠재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다방 주인들은 일당이 싼 아줌마들로 기존의 주방장을 대신하게 했는데, 그 결과 서울의 9,000여 곳이나 되는 다방이 원두커피에서 인스턴트커피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또 미국의 맥스웰하우스 커피 본사 전시실에 있는 세계 5대 커피 제품 중 하나인 ‘커피믹스’가 우리나라에서 개발되었다. 커피믹스의 황금 배합이라 일컬어지는 인스턴트커피 15%, 커피 크리머 30%, 백설탕 55%의 성분 비율은 이때 생겨났다.
1987년에 커피의 수입자율화가 발표되면서 이듬해부터 본격적으로 원두커피가 수입되기 시작하였다. 거리에는 원두커피 전문점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세련된 인테리어로 젊은 층을 끌어들이는 데 한몫했다. 아마도 이즈음부터 사람들은 인스턴트커피를 ‘다방커피’라고 부르게 된 듯하다. 한창 유행처럼 번지던 셀프 서비스 원두커피전문점은 값싼 원두로 맛없는 커피를 만들어내더니 결국 하나둘씩 문을 닫게 되었는데, 대접받는 문화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셀프서비스는 낯설고 익숙지 않은 개념이었던 것 같다. 반면 인스턴트커피는 커피 자동판매기의 보급 확대와 함께 커피믹스, 캔 커피의 개발로 그 시장을 더욱 확대해 나갔다.
비록 원두커피 전문점이 사라지긴 했지만 원두커피의 수입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가정이나 회사에서 원두커피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고급 커피하우스와 레스토랑이 점차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1997년에 IMF에 구제 금융을 요청하게 되면서 치솟은 환율 때문에 원두커피의 수입이 줄어들자 생두를 수입해 직접 로스팅하는 작은 규모의 커피 회사가 많이 생겨났다. 본격적으로 국산 원두커피의제조가 시작된 것이다. 그러다가 1999년에 이화여대 앞에 스타벅스 1호점이 오픈하면서 좋은 품질의 에스프레소 커피와 테이크아웃, 셀프서비스라는 새로운 커피 문화를 선도하기 시작하였다. 스타벅스의 성공은 또 다른 커피 전문점의 증가를 불러왔고 맛있는 커피를 마시려는 수요층이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계속 발전해 가고 있다. 이러한 커피의 대중화와 더불어 커피에 부과되었던 특별소비세가 2000년 1월 1일 0시를 기해 없어지면서 생필품의 하나로 굳건히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커피의 역사는 인류의 근대사이다. 커피는 인간이 마시는 기호음료 중에서 제일 많이 마시는 음료이며, 경제적인 여유와 비례한다. 그래서 커피 소비량이 많은 나라는 거의 대부분 선진국이다. 커피를 즐기는 습관은 아라비아에서 유럽으로, 아메리카로, 이제는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 세계의 경제 중심축과 함께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커피 문화를 알면 민족성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고, 커피의 역사를 알면 현대를 살아가는 데 보탬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참고문헌: 허형만(2009). 「커피 스쿨」. 서울: 팜파스.
  • 가격6,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6.06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