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운영기관(부처인사기관) - 인사기능의 분권화 요구, 부처인사기관(인력운영기관)의 기능과 조직형태, 우리나라(한국) 부처인사기관의 개선방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력운영기관(부처인사기관) - 인사기능의 분권화 요구, 부처인사기관(인력운영기관)의 기능과 조직형태, 우리나라(한국) 부처인사기관의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부처인사기관

I. 인사기능의 분권화 요구

II. 부처인사기관의 기능

III. 부처인사기관의 조직형태
1. 인사전문가형
2. 일반행정가형

IV. 우리나라 부처인사기관의 개선방안

본문내용

장은 계통상 다른 과장과 동일한 위치에 있으나 승진예정자나 고참과장을 보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총무과는 인사행정의 효율적인 집행보다는 소속 기관장의 추종자 역할을 할 수 밖에 없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부처인사기관(총무과)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총무과는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며 전문적 인사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둘째, 총무과는 일반행정가형 이므로 인사행정의 전문화를 도모하기 어렵다.
셋째, 총무과는 인사행정의 전문적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부처장에게 인사행정에 대한 전문적이고 객관적 조언을 하기 어렵다.
이러한 부처인사기관의 단점을 보완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 인사책임자를 일반행정가로 하고 부문별 인사행정전문가를 배치하는 통합형의 인사기관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중앙인사기관과 연계를 맺는데도 유리하다.
둘째, 부처인사기관을 총무과에서 분리하여 인사행정에 전념하도록 한다.
셋째, 부처인사기관을 총무과에서 분리하되 부처장의 직속기관으로 하여 인사자문에 충실하도록 한다.
넷째, 부처인사기관을 각 기관의 특성에 따라 개별적 구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6.21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3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