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혼색(混色) - 혼색의 이해, 가산혼색, 중간혼색, 감산혼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혼색(混色) - 혼색의 이해, 가산혼색, 중간혼색, 감산혼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혼색의 이해
2. 가산혼색
3. 중간혼색
4. 감산혼색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 일어난다. 또한 컬러 슬라이드 필름에는 3종류의 감광층이 겹쳐 있으며, 하나의 층은 빨간빛, 초록빛, 파란빛 중의 하나에만 반응한다. 즉 현상에 따라 각 층의 빛이 강해지는 부분은 무색으로, 빛이 닿지 않았던 부분에 대해서는 빛의 강약에 따라 각각 보색인 마젠타, 노란색으로 발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노란색과 마젠타는 각각으로 발색된 층에 대한 빛의 강도에 따라 발색농도가 다르므로, 감산혼색에 의한 영사기에서 빛을 촬영된 원색으로 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물질은 백색광의 특정한 빛의 파장을 흡수하거나 투과하여 반사시킨다. 물체가 어떤 빛을 흡수하며 남아있는 반사나 투과된 빛의 파장이 인간의 눈에 보이게 되는 것이다. 즉, 불투명한 흰색 물질은 모든 파장의 빛을 반사하지만 검은색은 모두를 흡수한다. 그리고 반투명한 물질이나 투명한 물질은 백색광의 어떤 파장을 흡수하거나 빼버리고 나머지를 투과시키는 것이 감산 과정인데 이러한 것은 투과된 빛이 광원보다 약하기 때문이다. 가령, 시안 필터로 파란색과 녹색 빛은 투과시키고 빨간색 빛은 걸러내고 이를 다시 마젠타 필터로 녹색 빛을 걸러내면 결과적으로 파란색 빛만 투과하게 된다. 하지만 시안 필터를 약하게 하면 약간의 빨간색 빛이 투과되어 바이올렛 빛을 만드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선현 저, 색채심리학, 이담북스 2013
이근매 저,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8
김용숙, 박영로 저, 색체의 이해(색채 이론과 활용), 일진사 2013
고현, 유시덕 외 저, 유아동 미술교육과 미술치료, 창지사 2008
오연주, 홍혜자 외 저, 미술치료, 창지사 2014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6.24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44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