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우리나라)의 경찰의결기관 및 자문기관(경찰위원회, 치안행정협의회, 경찰혁신위원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우리나라)의 경찰의결기관 및 자문기관(경찰위원회, 치안행정협의회, 경찰혁신위원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찰의결기관 및 자문기관

I. 경찰위원회
 1. 경찰위원회의 조직구성
 2. 위원회의 심의, 의결사항
 3. 재의요구
 4. 경찰위원회 회의

II. 치안행정협의회

III. 경찰혁신위원회

본문내용

들어 시 도지사가 위촉하는 3인(동 위원의 임기는 2년) 구성된다. 각 시 도의 부시장 또는 부지사가 위원장147)이 되며, 협의회의 조직, 운영 기타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치안행정협의회는 위원장의 소집 하에 매분기 1회 개최하되, 특정사안에 관하여 지방행정과 치안행정과의 업무협조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수시로 개최할 수 있다. 치안행정협의회의 주요 협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지역안정 및 질서유지에 관한 사항,
2/ 민방위 및 재해대책운영에 관한 사항,
3/ 질서확립운동 등 지역사회운동의 효율적 추진에 관한 사항,
4/ 지역주민과 경찰 간의 협조 및 요망사항,
5/ 기타 지방행정과 치안행정간 상호지원에 관한 사항과 시 도지사 및 지방경찰청장이 회의에 회부하는 사항 등
3) 경찰혁신위원회
경찰혁신위원회는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지방화 분권화 세계화 정보화 등 변화하는 치안환경에 부응하여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경찰상을 구현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경찰혁신위원회는 과거에 관행처럼 이루어져왔던 조직 내부에서만의 개혁, 상부의 지시에 의한 개혁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참여를 통한 개혁, 하부로부터의 개혁을 모색한다. 또한 경찰혁신 과제선정 및 추진과정에 지역주민과 일선직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 적극 반영하는 아래로부터의 자율혁신을 추진하여 일시적 전시성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부터 순차적으로 단계별로 추진하되, 격의 없는 토론과 함께 즐겁게 참여하는 가운데 지속적인 개혁을 추진하는데 있다.
한편 경찰혁신위원회 추진체계는 다음과 같다.
경찰혁신위원회 추진체계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7.11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6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