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산미증식계획(産米增殖計畵)의 실시 - 문화통치시기 산미증식계획, 토지조사사업 이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제의 산미증식계획(産米增殖計畵)의 실시 - 문화통치시기 산미증식계획, 토지조사사업 이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산미증식계획의 배경
3. 산미증식계획의 과정
4. 산미증식계획의 실패
5. 산미증식계획의 영향
6. 맺음말

본문내용

많은 자재와 자본을 투입할 수가 없었고 전쟁이 계속되면서 인적 자원과 비료의 부족이 가중되어 한낱 계획에 그칠 수밖에 없었습니다.
五. 産米增殖計劃의 영향
1) 긍정적 영향
관개설비 답이 증가하고 일본식 개량 농법이 보급
2) 부정적 영향
조선에 식민지 지주제가 확대 및 심화되고, 증산된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쌀이 일본으로 반출되었기 때문에 조선인들은 만성적인 식량부족에 시달렸습니다. 중소지주 · 자작농 · 소작농들은 농업금융에서 배제되어 수리조합 비의 부담, 고율 소작료, 고리대 등에 의해 몰락했고, 일본인 · 조선인 대지주들은 식민지 지배체제의 담당자로 편입되어 식민지 지배를 위한 사회적 기반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이처럼 산미증식계획은 많은 자금과 인력이 투하되었지만 별다른 생산적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습니다.
六. 맺음말
산미증식계획은 약간의 쌀 증산을 가져오긴 했지만, 일본의 식량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
고 일본인의 토지겸병을 촉진했을 뿐, 조선인은 쌀 대신 오히려 잡곡을 더 많이 먹게
되었고, 소작료 증가, 과중한 수리조합비 때문에 농민의 빈궁화는 더욱 가속화되었으며,
농촌의 상품 · 화폐관계 및 쌀의 상품화가 촉진 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7.28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7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