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의 대중문화 톺아보기 - <헨젤과 그레텔> (오페라, 뮤지컬, 영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 속의 대중문화 톺아보기 - <헨젤과 그레텔> (오페라, 뮤지컬, 영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미지의 역동성, 움직임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것의 기술적인 특징은 시간적 연속성을 중단할 수 있고, 카메라 앵글의 방향과 위치, 각도와 거리, 시점을 임의로 바꾸어 촬영하고, 그것을 다시 편집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매체는 시간과 공간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질 수밖에 없다.
영상매체의 재현성, 모방성, 모사성은 사회적 실재감을 창조해 준다는 특징을 갖는다. 즉, 영화라는 공간 속에서 새로운 이미지들을 기술을 통해 완벽하게 재현해냄으로써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공동의 인식을 그리고 실재감을 심어주는 결과를 낳는 것이다. 따라서 영상매체는 재현된 역사를 사회 내에서 새롭게 존재하도록 만들어준다.
영상매체는 집합의 시대에서 개인의 시대로 변화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평이하고 자연스러운 형태로 비교적 낮은 밀도의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정보의 대중화를 만들었다. 이는 이전까지 상위층에게 주어졌던 사회적 지위가 대중으로 확산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집단적 사고가 개인적 사고로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영상매체의 수용자들이 영상 속 해석자로 개입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새로운 기술적 매체의 특성은 카메라로 매개된 감각임으로 간접적이며 관객에게 일방적 반응을 유도한다. 따라서 카메라 쇼트에 따라 동일화가 생기며 구체적 형상성, 공간의 동질성에 따라 관객은 심리학적, 미학적, 주관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임선영, 「매체전환에 따른 극 공간연출 변화에 대한 디자인프로세스 연구 : 뮤지컬<김종욱 찾기>의 영화화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처럼 공연예술과 영상매체는 확연히 다른 특성을 띔을 확연히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이 두 문화들을 결합시켜 관객들에게 내놓기도 한다. 공연매체에서 영상매체의 사용은 공연예술의 장르에서 새로운 변혁의 요인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시공간의 확장과 심상의 표현등 공연공간에서의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는 시도로 활용된다. 공연예술에서의 영상매체는 극적 표현 도구이자, 영상언어로 극 표현 자체가 된다.
반대로 영화가 공연예술의 영향을 받는 경우도 등장하게 된다. 영화는 보편적으로 구체적 공간으로 리얼리티를 강조하는데 영화 <도그빌>의 공간은 추상적 공간으로 연극적 무대세트화 되어있다. 또한, 이야기 구성이 프롤로그와 9개의 장으로 나뉘어 있으며 극작품이 서두의 무대지시를 통해 인물과 상황을 설명하듯 이 영화에도 인물과 상황을 사전에 제시한다. 그리고 내레이터가 존재하며 장면 전환이 극작품의의 암전을 통한 무대 전환과 유사하다. 이 영화는 연극무대를 스크린에 그대로 옮겨왔다고도 볼 수 있다. ibid, p.10
지금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멀티미디어시대이고 하이브리드의 시대이다. 이에 걸맞게 많은 작품들이 쏟아지고 각기 다른 매체들의 색다른 결합의 시도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른 특성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특성을 가진 작품을 내놓는 다는 것, 이것은 현재의 문화들과 배경, 세계화 속에 살고 있는 우리의 생각을 가장 잘 드러내는 성격이 아닐까 생각한다
  • 가격6,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8.27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8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