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진보주의의 개념
2. 진보주의교육협회
3. 진보주의의 교육원리
4. 진보주의 교육을 비판하는 관점
5. 진보주의 교육의 평가
참고문헌
1. 진보주의의 개념
2. 진보주의교육협회
3. 진보주의의 교육원리
4. 진보주의 교육을 비판하는 관점
5. 진보주의 교육의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머지 가치의 절대적인 측면을 보는 눈을 키워 주지 못했다.
③ 아동중심 생활중심 교육이 지나쳐 교육의 명확한 목표 설정을 하기가 힘들었고, 문제해결방식은 비효율적인 시행착오와 산만한 수업 분위기를 낳기 일쑤였다.
④ 학교는 본래 특수한 훈련기관이 되어야 하는데 도리어 현재 사회의 복사판 축소판이 되었고, 다수의 협동적 노력을 강조한 나머지 우수한 소수자의 지도성을 반영시키지 못했으며, 민주주의 이외의 사상체계(思想體系)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소홀히 했다.
⑤ 진보주의는 사회를 경시하고 지나치게 개인만을 중요시하였다. 그러나 사회를 떠난 개인이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를 경시한 채 개인을 강조하는 것은 모순이 아닐 수 없다.
5. 진보주의 교육의 평가
그러나 이와 같은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은 진보주의 사상 그 자체에서 비롯된 것이기보다는 진보주의의 이름 아래에 행하여진 왜곡된 교육의 탓에 기인한 것이라고 보는 관점도 있다. 사실 듀이는 사회를 개인 못지않게 중요시하였다. 다만, 지난 날 교육이 지나치게 학습자를 무시하고 억압한 데 대해 학습자의 비중을 강조한 것이었다. 진보주의 교육은 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미국교육과 세계교육에 심대한 영향을 주었던 한 시대의 교육사상이었음을 과소평가할 수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선영 저, 교육학개론, 박영스토리 2015
성태제, 강대중 외 저, 최신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2
김희수, 최정선 외 저, 이해하기 쉽게 쓴 교육학개론, 동문사 2014
박철홍, 강현석 외 저, 현대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3
김도진, 송성순 외 저, 교육학개론, 창지사 2015
③ 아동중심 생활중심 교육이 지나쳐 교육의 명확한 목표 설정을 하기가 힘들었고, 문제해결방식은 비효율적인 시행착오와 산만한 수업 분위기를 낳기 일쑤였다.
④ 학교는 본래 특수한 훈련기관이 되어야 하는데 도리어 현재 사회의 복사판 축소판이 되었고, 다수의 협동적 노력을 강조한 나머지 우수한 소수자의 지도성을 반영시키지 못했으며, 민주주의 이외의 사상체계(思想體系)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소홀히 했다.
⑤ 진보주의는 사회를 경시하고 지나치게 개인만을 중요시하였다. 그러나 사회를 떠난 개인이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를 경시한 채 개인을 강조하는 것은 모순이 아닐 수 없다.
5. 진보주의 교육의 평가
그러나 이와 같은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은 진보주의 사상 그 자체에서 비롯된 것이기보다는 진보주의의 이름 아래에 행하여진 왜곡된 교육의 탓에 기인한 것이라고 보는 관점도 있다. 사실 듀이는 사회를 개인 못지않게 중요시하였다. 다만, 지난 날 교육이 지나치게 학습자를 무시하고 억압한 데 대해 학습자의 비중을 강조한 것이었다. 진보주의 교육은 많은 비판에도 불구하고 미국교육과 세계교육에 심대한 영향을 주었던 한 시대의 교육사상이었음을 과소평가할 수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선영 저, 교육학개론, 박영스토리 2015
성태제, 강대중 외 저, 최신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2
김희수, 최정선 외 저, 이해하기 쉽게 쓴 교육학개론, 동문사 2014
박철홍, 강현석 외 저, 현대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3
김도진, 송성순 외 저, 교육학개론, 창지사 2015
추천자료
전통주의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실용주의) 교육원리
[사범/법학] 현대교육철학사조
진보주의와 본질주의의 비교
(미국의 교육사상) 실존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 항존주의, 본질주의 각각으 특징, 의의, ...
존듀이의 체육학적 철학 사상
교육의 철학적 기초(교육철학)
평생교육의 철학적 기초로서의 자유주의, 진보주의, 행동주의
진보주의 교육사상이 한국 교육에 끼친 영향에 대한 비판
[유교][유교사상][경전내용][진보주의][사회윤리][도덕교육]유교(유교사상)의 개념, 유교(유...
존듀이, 민주주와 교육 5,7,10장
교육학개론정리(교육철학) 전체요약
현대교육철학사조
현대교육사조
2016년 1학기 교육과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 (항존주의,본질주의,진보주의,재건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