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균풍과 온도풍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균풍과 온도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균풍
2. 지균풍과 지상풍
3. 지균조절
4. 온도풍
5. 순전과 반전
6. 대기의 수렴과 발산

본문내용

이 부는 이유는 중위도에서 남북온도경도가 가장 크기 때문에 상층바람과 하층바람의 연직시어가 커지게 되고 이는 강력한 온도풍의 일종인 제트류를 형성해내기 때문이다. 온도풍에 대한 관계식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온도풍은 남북 온도경도에 의해 세기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즉, 남북 온도경도가 크면 클수록 온도풍의 세기는 증가하게 된다.
온도풍 관계식은 지균풍 식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먼저, 동서방향의 바람에 대한 온도풍을 구해보도록 하자.
이 식이 함축하는 의미를 생각해보자. 고도가 증가할수록, 동서방향의 바람의 세기가 증가하면, 북쪽으로 갈수록 온도가 감소한다. 마찬가지로 남북방향의 바람에 대한 온도풍을 구해보도록 하자.
마찬가지로 고도의 증가에 따라, 남북방향의 지균풍의 속도가 증가할 경우, 동쪽으로 갈수록 온도가 증가한다. 이것이 온도풍 식이 의미하는 바이다.
5. 순전과 반전
순전이란 하층에서 상층으로 갈수록 바람의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변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전이란 하층에서 상층으로 갈수록 바람의 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순전은 온난이류가 불어오고 있음을 의미하며, 반전은 한랭이류가 불어오고 있음을 의미한다. 중위도 지역인 우리나라의 경우 중위도 저기압이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온난전선 전면과 난역대에서는 바람이 순전하므로 온난이류가 불고 한랭전선 후면에서는 바람이 반전하므로 한랭이류가 불게 된다.
6. 대기의 수렴과 발산
대기의 수렴과 발산을 논하기 전에 두 가지를 가정할 필요가 있다. 즉, 대기는 비압축성 유체(Incompressible Fluid)라는 것과 질량 보존의 법칙을 만족한다는 것을 가정해야 한다. 먼저, 대기가 압축 가능한 유체라면, 발산과 수렴을 논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또한 특정 계를 가정하고 외부에서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없음을 가정함으로써 대기의 수렴과 발산을 논할 필요가 있다.
수렴과 발산을 논하기 위해 연속방정식의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속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그리고 우리는 연속방정식을 이용하여 연직속도의 추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상에서 수렴ㆍ발산의 값이 인 경우, 5km고도에서의 연직속도를 구하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즉, 여기서 공기들은 하층으로 의 속력으로 하강하고 있다. 보통 수평바람의 속력이 수 인 것에 비하면 연직바람의 속력은 굉장히 느리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0.04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3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