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각 혹은 지각
-기억과 상상력
-감정과 이성
-기억과 상상력
-감정과 이성
본문내용
낭만주의가 도래하면서 세계를 바라보는 눈을 크게 변화시켰다. 그전에는 위험하고 ,고통스럽고, 병적이라는 뉘앙스를 뛰었던 이 말이 이제 ‘정념’이 아니라 ‘열정’으로 바뀐다. 그러면서 긍정적인 뉘앙스가 깃들게 된다.
현대대중문화는 19세기 낭만주의를 잇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현대 대중문화를 지배하는 정서의 뿌리 역시 19세기의 감성주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철학자들이 영혼의 능력들 중 가장 훌륭한 것으로 본 것은 이성이다. 그중 형이상학적 지혜는 인성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받은 부분이다. 이성 역시 사유, 지혜, 현명함, 과학적 지성 등 여러 개념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근대에 이르게 되면 형이상학적 지혜가 부정 당한다. 진은 과학을 담당하게 되고, 철학은 선에 주력하게 되고, 예술은 미를 담당하게 된다. 칸트는 이런 삼분법을 잘 보여준다. 순수이성, 실천이성, 판단력이라는 삼분법을 사용하여 과학적 지식 및 그것에 대한 인식론, 도덕적 지혜, 그리고 심미적 능력을 인성의 세 부분으로 보았던 것이다. 이런 삼분법은 지금도 일정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데, 그래서 고, 중세의 구도와 근대의 구도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현대대중문화는 19세기 낭만주의를 잇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현대 대중문화를 지배하는 정서의 뿌리 역시 19세기의 감성주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철학자들이 영혼의 능력들 중 가장 훌륭한 것으로 본 것은 이성이다. 그중 형이상학적 지혜는 인성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받은 부분이다. 이성 역시 사유, 지혜, 현명함, 과학적 지성 등 여러 개념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근대에 이르게 되면 형이상학적 지혜가 부정 당한다. 진은 과학을 담당하게 되고, 철학은 선에 주력하게 되고, 예술은 미를 담당하게 된다. 칸트는 이런 삼분법을 잘 보여준다. 순수이성, 실천이성, 판단력이라는 삼분법을 사용하여 과학적 지식 및 그것에 대한 인식론, 도덕적 지혜, 그리고 심미적 능력을 인성의 세 부분으로 보았던 것이다. 이런 삼분법은 지금도 일정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데, 그래서 고, 중세의 구도와 근대의 구도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