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습장애의 분류
I. 발달상 학습장애와 학업상 발달장애
1. 발달상 학습장애
a) 주의집중장애
b) 지각장애
c) 기억장애
d) 사고장애
e) 언어장애
2. 학업상 학습장애
a) 읽기 장애
b) 철자 및 문어 표현 장애
c) 수학 장애
II. 언어성 학습장애와 비언어성 학습장애
1. 언어성 학습장애
2. 비언어성 학습장애
I. 발달상 학습장애와 학업상 발달장애
1. 발달상 학습장애
a) 주의집중장애
b) 지각장애
c) 기억장애
d) 사고장애
e) 언어장애
2. 학업상 학습장애
a) 읽기 장애
b) 철자 및 문어 표현 장애
c) 수학 장애
II. 언어성 학습장애와 비언어성 학습장애
1. 언어성 학습장애
2. 비언어성 학습장애
본문내용
. 문어 표현 장애는 자신의 생각을 쓰기로 나타내는 데(writ-
ten expression)어려움을 갖는다.
쓰기라는 것은 자신의 머릿속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해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그런데 쓰기 장애 아이들은 머릿속
의 생각을 글로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 이런 아이들의 글을 보면
문장의 문법이 맞지 않거나 구두점을 잘못 사용하거나, 문단의 구성
이 빈약하거나, 철자법의 실수가 많고,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게 쓴
다. 그리고 쓰기 장애 아이들은 이런 특징을 하나씩만 가진 것이 아
니라 여러 가지 특징을 동시에 보인다.
쓰기 장애는 어디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 여러 가지원인이 있겠
지만 연필을 쥐는 손의 힘이 약해서 쓰기 장애가 생기기도 하고 또
는 자신이 눈으로 보는 것을 손으로 똑같이 그릴 수 없기 때문에 쓰
기 장애를 겪을 수도 있다. 또한 받아쓰기를 못하는 경우에는 청각
적으로 들어온 정보를 쓰기를 할 때까지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거
나, 철자와 소리간의 대응 규칙을 잘 몰라서 그렇기도 하다. 후자의
경우는 대개 읽기 장애도 보인다.
c) 수학 장애
산수기술과 개념의 숙달이 어려우며 계산 및 문제 해결에 어려움
이 있다. 공간 지각력이 약하며 측정이나 도형에 대한 이해에 어려
움을 갖는다.
초등학교 6학년 4명의 수학 학습장애아를 대상으로 상위인지 전략
훈련법으로 언어회 산수문제, 즉 문장제 산수문제 점수, 수행에 대한
기대감, 수행 지속시간을 중다기초선법(multiple-baseline design)으로
측정한 정옥남(1989)은 상위인지 전략훈련은 아동의 수학 문제해결
수행에 효과적인 전략법임을 밝히고 있다.
이소영(1993)은 초등학교 2학년 정상아와 4-5학년 학습장애아 73
명을 대상으로 언어적 산수문제 해결을 위해 이해와 기억력에 도움
이 되는 조건들을 제시하여 문제 이해의 랄련 변인인 계산 복잡성,
단서의 유무, 맥락, 기억력 도움 조건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글을 읽고 이해가 되지 않아 문제해결을 할 수 없는 문장제 수
학문제는 독해 장애가 수학장애와 관련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장해옥(1994)은 셈하기 수준 초등학교 1-2학년에 해당하고, 독해
수준 초등학교 3-4학년 인 수학지체아를 대상으로 문장제 수학문제
해결에 관해 연구코자 문장제 문제(story problem, word problem)해
결방안으로 상위인지적 자기조정전략 훈련법을 사용한 결과 자기조
정훈련은 수학지체 아동의 자기조정 전략사용과 문장제 수학 해결력
향상에 의미 있음을 입증하였다.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며, 문제를 이해하고 표상하는 데 비전략적
인 수학학습 장애아들(Havertape & Kass, 1978 ; Montague &
Applete, 1993)은 문제표상과 관련된 과정과 전략사용에 두드러진
결함을 가지고 있다.
수학 문장제 문제의 시각적 표상학습 프로그램으로서 문제해석 훈
련과 쉐마훈련이 수학학습 장애아의 수학학습성취 정도와 태도에 어
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중학교 1학년 30명의 학습장애아를
대상으로 연구한 조은경(1997)에 의하면, 문제의 최적 표상을 이용
하여 문제를 표상한 아동이 문제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하게 되고 해
결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능력을 monitoring 함으로써 수학문제 해
결에 자신감을 갖게 되어 결국 유능한 학습자가 됨이 밝혀졌다.
2) 언어성 학습장애와 비언어성 학습장애
(1) 언어성 학습장애(verbal learning disabilities)
언어성 학습장애는 어휘력 및 언어를 통한 학습 과제나 언어-청각
적인 주의과제에서 의미 있는 저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언어성 지능
의 저하와 읽기장애, 철자상의 오류, 수개념의 습득 및 이해영역에서
장애를 갖는다.
(2) 비언어성 학습장애(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비언어성 학습장애는 시-지각의 정확도, 정신-운동성 기능의 협응
속도, 시각-공간적인 조직력 등 기능 전반에 걸쳐 비효율성을 나타내
는 것으로 동작성 지능의 저하와 촉각, 시각, 복잡한 정신 운동 기술
면에서 어려움을 갖는다.
비언어적인 학습장애는 주로 우반구 학습장애와 관계가 있는데
(Penington, 1991 ; Rouke, 1989), 이러한 장애를 보이는 아동들은 시
각 자극을 구별하거나 인식하는 데 어려워하며, 시-공간-통합 능력
(visual-spatial-organizational ability)의 장애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
난다.
ten expression)어려움을 갖는다.
쓰기라는 것은 자신의 머릿속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해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그런데 쓰기 장애 아이들은 머릿속
의 생각을 글로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 이런 아이들의 글을 보면
문장의 문법이 맞지 않거나 구두점을 잘못 사용하거나, 문단의 구성
이 빈약하거나, 철자법의 실수가 많고, 글씨를 알아보기 힘들게 쓴
다. 그리고 쓰기 장애 아이들은 이런 특징을 하나씩만 가진 것이 아
니라 여러 가지 특징을 동시에 보인다.
쓰기 장애는 어디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 여러 가지원인이 있겠
지만 연필을 쥐는 손의 힘이 약해서 쓰기 장애가 생기기도 하고 또
는 자신이 눈으로 보는 것을 손으로 똑같이 그릴 수 없기 때문에 쓰
기 장애를 겪을 수도 있다. 또한 받아쓰기를 못하는 경우에는 청각
적으로 들어온 정보를 쓰기를 할 때까지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거
나, 철자와 소리간의 대응 규칙을 잘 몰라서 그렇기도 하다. 후자의
경우는 대개 읽기 장애도 보인다.
c) 수학 장애
산수기술과 개념의 숙달이 어려우며 계산 및 문제 해결에 어려움
이 있다. 공간 지각력이 약하며 측정이나 도형에 대한 이해에 어려
움을 갖는다.
초등학교 6학년 4명의 수학 학습장애아를 대상으로 상위인지 전략
훈련법으로 언어회 산수문제, 즉 문장제 산수문제 점수, 수행에 대한
기대감, 수행 지속시간을 중다기초선법(multiple-baseline design)으로
측정한 정옥남(1989)은 상위인지 전략훈련은 아동의 수학 문제해결
수행에 효과적인 전략법임을 밝히고 있다.
이소영(1993)은 초등학교 2학년 정상아와 4-5학년 학습장애아 73
명을 대상으로 언어적 산수문제 해결을 위해 이해와 기억력에 도움
이 되는 조건들을 제시하여 문제 이해의 랄련 변인인 계산 복잡성,
단서의 유무, 맥락, 기억력 도움 조건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글을 읽고 이해가 되지 않아 문제해결을 할 수 없는 문장제 수
학문제는 독해 장애가 수학장애와 관련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장해옥(1994)은 셈하기 수준 초등학교 1-2학년에 해당하고, 독해
수준 초등학교 3-4학년 인 수학지체아를 대상으로 문장제 수학문제
해결에 관해 연구코자 문장제 문제(story problem, word problem)해
결방안으로 상위인지적 자기조정전략 훈련법을 사용한 결과 자기조
정훈련은 수학지체 아동의 자기조정 전략사용과 문장제 수학 해결력
향상에 의미 있음을 입증하였다.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며, 문제를 이해하고 표상하는 데 비전략적
인 수학학습 장애아들(Havertape & Kass, 1978 ; Montague &
Applete, 1993)은 문제표상과 관련된 과정과 전략사용에 두드러진
결함을 가지고 있다.
수학 문장제 문제의 시각적 표상학습 프로그램으로서 문제해석 훈
련과 쉐마훈련이 수학학습 장애아의 수학학습성취 정도와 태도에 어
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중학교 1학년 30명의 학습장애아를
대상으로 연구한 조은경(1997)에 의하면, 문제의 최적 표상을 이용
하여 문제를 표상한 아동이 문제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하게 되고 해
결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능력을 monitoring 함으로써 수학문제 해
결에 자신감을 갖게 되어 결국 유능한 학습자가 됨이 밝혀졌다.
2) 언어성 학습장애와 비언어성 학습장애
(1) 언어성 학습장애(verbal learning disabilities)
언어성 학습장애는 어휘력 및 언어를 통한 학습 과제나 언어-청각
적인 주의과제에서 의미 있는 저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언어성 지능
의 저하와 읽기장애, 철자상의 오류, 수개념의 습득 및 이해영역에서
장애를 갖는다.
(2) 비언어성 학습장애(nonverbal learning disabilities)
비언어성 학습장애는 시-지각의 정확도, 정신-운동성 기능의 협응
속도, 시각-공간적인 조직력 등 기능 전반에 걸쳐 비효율성을 나타내
는 것으로 동작성 지능의 저하와 촉각, 시각, 복잡한 정신 운동 기술
면에서 어려움을 갖는다.
비언어적인 학습장애는 주로 우반구 학습장애와 관계가 있는데
(Penington, 1991 ; Rouke, 1989), 이러한 장애를 보이는 아동들은 시
각 자극을 구별하거나 인식하는 데 어려워하며, 시-공간-통합 능력
(visual-spatial-organizational ability)의 장애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
난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