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념과 적응] 자기 쉐마, 자기일치와 자기불일치, 자기의식상태, 자기애적 동일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기개념과 적응] 자기 쉐마, 자기일치와 자기불일치, 자기의식상태, 자기애적 동일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기개념과 적응

I. 자기 쉐마

II. 자기일치와 자기불일치

III. 심리치료의 과정, 기준

IV. 자기로부터 도피와 자기에로의 속박
1. 자기의식 상태로부터의 도피
2. 자기의식 상태로의 몰입 - 자기개선으로의 지나친 교육
3. 자기애적 동일시

본문내용

상태가 지나치게 활성화집으로 인해서 부작용도 생기기 쉽다고 말한다. 특히, 현실자기와 이상자기와의 사이에 지나치게 큰 간격이 생겼을 때, 예컨대, 막연한 추상적인 이상이지만 실제로는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든가, 무엇을 하면 좋을지 잘 알고 있지만 결정적인 능력부족 때문에 실현할 수 없는 것을 인식한 경우 등 자기의식이 높은 것이 만족스럽지 못한 자신의 모습을 눈에 들어오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다음에 언급하는 '자기의식상태로부터의 도피', '자기의식상태에로의 속박', '자기애적 동일시'와 같은 행동이 흔히 보인다. 청년기의 문제행동의 어떤 것들은 이러한 관점에 서서 이해할 수 있다.
1) 자기의식 상태로부터의 도피
자기혐오나 불안한 상태로부터 벗어나기 위한하나의 방법은 그 원인이 되는 자기로부터 눈을 돌리는 것이다. 그러나 자기에 대한 의식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자연히 자신의 것만을 생각하게 된 경우에는 무엇인가 특별한 수단을 사용하여 무리해서도 주의를 자신으로부터 떨어지게 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비행집단에 참여하는 것, 스릴이 있는 체험을 추구하는 것, 과잉적인 스포츠 활동이나 아르바이트 활동에 마음을 두는 것, 가상체험에 몰두하는 행위 등에는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나 주의를 외적 환경으로 향하게 하는 상황에 몸을 맡김으로써 자기의식상태로부터 도피하고 싶다는 기분을 찾아 볼 수 있다.
2) 자기의식 상태로의 몰입 - 자기개선으로의 지나친 교육
자기로부터의 도피행동은 반드시 모든 것이 문제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 방법이 사회적으로 일탈성이 없다면 심리적인 균형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도 도피는 일종의 안전장치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부분이 이상자기에 있어서 중핵적인 의미를 갖는 경우, 이 도피가 안전장치로서 작용하지 않게 되어 해결불가능한 과제를 갖는 경우, 이 도피는 안전장치로서 작용하지 않게 되고 해결불가능한 과제로 언제까지나 고집을 부리는 상태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3) 자기애적 동일시
능력, 기능 또는 용모가 좋은데도 불구하고 주위로부터 승인이나 공감을 얻지 못했을 경우, 충족되지 못한 자기애는 사회로부터 주목을 받는 사람, 우상과 같은 이상화된 대상으로 동일시를 향하게 된다. 자기가 실현할 수 없는 꿈을 실현하고 있는 사람이나 집단과의 동일시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쾌감이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고 자기상의 회복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1.1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