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말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윌리엄 골딩이 소설의 배경으로 택한 무인도라는 공간은 물론 다수의 인간으로부터 고립된 공간을 추구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더 넓게 생각해보면 그곳은 하나의 사회의 축소판이라고 보여진다. 지금 우리의 삶과 그 무인도 안에서의 삶이 많이 다르지 않고 오히려 비슷하다는 인식을 우리는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이 주목받지 않다가 1980년대에 들어서 주목받은 이유도 인간의 숨겨진 야만성이나 권력에 대한 욕구가 그때서 많이 표출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의 본능과 인습 사이의 갈등을 잘 표현한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을 읽으면서 지금까지 느끼지 못했던 인간의 두려움을 새삼 느낄 수 있었고, 앞으로의 세계가 이런 갈등을 받지 않기를 원한다.
추천자료
영상문화관광지의 공간지각이 관람후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왕건촬영세트를 중심으
[자연과학] 아이스크림
조선국왕이야기를 읽고
헬레니즘 세계 월뱅크 지음. 내용요약 및 감상문
한국의 전통교육
전국은 지금 마라톤 열풍 (마라톤에 대한 고찰, 그리고 득과 실)
절대 왕정의 상징, 베르사유 궁전과 정원
국립중앙박물관 관람보고서
이정명의 뿌리깊은 나무 를 읽고 쓴 독후감
[프랑크왕국][중프랑크왕국][동프랑크왕국][서프랑크왕국]프랑크왕국, 중프랑크왕국(Middle F...
[고전주의][고전주의 대두][고전주의 음악][고전주의와 낭만주의 비교][고전주의 영향]고전주...
남미 - 브라질 & 아르헨티나
[연극과 희곡의 이해]뮤지컬 ‘천국과 지옥’을 보고
‘고 녀석 맛나겠다’ 영화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