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bstract (요약)
2. Introduction (이론 및 배경)
3. Experimental (준비물 및 실험방법)
4. Results (실험 결과)
5. Question (문제)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7 References (참고문헌)
2. Introduction (이론 및 배경)
3. Experimental (준비물 및 실험방법)
4. Results (실험 결과)
5. Question (문제)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7 References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되풀이하여 점차 묽힌 Fe(NO3)3 용액을 차례로 6번 시험관까지 채운다. 조작이 되풀이될 때마다 눈금실린더와 비커를 깨끗이 씻어야 한다. 그리고 7번 시험관은 용액을 버리는데 이용된다.
⑥ 1번과 2번 시험관 둘레에 각각 종이를 감고 테이프를 붙여서 아래와 윗면이 뚫린 실린더 모양으로 만들어 시험관으로부터 뺄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바깥 빛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⑦ 흰 종이위에 두 시험관을 나란히 세운다. 1번과 2번 시험관을 위에서 내려 보면서 두 시험관에 든 용액의 색이 같아질 때까지 스포이드로 1번 시험관에 든 용액을 빈 시험관으로 옮긴다. (주의 : 1번 시험관의 용액만 줄게 되며 나머지 시험관은 처음과 같은 상태이어야 한다.)
⑧ 시험관을 두른 종이를 벗겨 낸 다음 1번 시험관 용액의 높이(ℓ)를 자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주의 : 1번 시험관의 높이 측정을 잊지 않아야 한다.)
⑨ 위와 같은(6~8항) 방법으로 1번 시험관과 2, 3, 4, 5, 6번 시험관을 비교하고 1번 시험관의 높이를 기록한다.
4. Results (실험 결과)
1) 실험 결과
시험관 번호
색이 같아졌을 때의 1번 시험관의 높이(cm)
[FeSCN2+] 농도
1
2
3
4
5
6
2) 평형농도 및 평형상수 계산식
3) 평형농도 및 평형상수
시험관 번호
[Fe3+]
[SCN-]
[FeSCN2+]
K
1
2
3
4
5
6
5. Question (문제)
1) 사용하는 시험관의 지름이 동일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번 실험에서 색이 같아 질 때의 시험관에 들어있는 용액의 높이를 측정하여 평형농도와 평형상수를 구하게 된다. 시험관의 지름이 다르게 되면, 같은 높이의 시험관의 부피가 다르게 되므로 용액의 부피가 다르게 되며 또한 진하기가 달라지므로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게 된다.
2) 손으로 잡은 시험관이 체온에 의해 데워진다면 평형상수는 어떻게 되겠는가?
평형상수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손으로 잡아서 시험관이 데워진다면, 1~6의 시험관 안의 온도가 각기 달라져 정확한 평형농도를 구할 수 없게 된다.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처음엔 어떻게 위에서 봤을 때 용액만 뺀다고 색깔이 연해질까 의심을 가지며 실험을 하였지만 빼면 뺄수록 색깔이 연해져서 무척이나 신기했었다. 실험 검사할 때
오광중교수님의 질문에 의해 그 이유를 알게되었다. FeSCN2+때문
7 References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인.
⑥ 1번과 2번 시험관 둘레에 각각 종이를 감고 테이프를 붙여서 아래와 윗면이 뚫린 실린더 모양으로 만들어 시험관으로부터 뺄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바깥 빛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⑦ 흰 종이위에 두 시험관을 나란히 세운다. 1번과 2번 시험관을 위에서 내려 보면서 두 시험관에 든 용액의 색이 같아질 때까지 스포이드로 1번 시험관에 든 용액을 빈 시험관으로 옮긴다. (주의 : 1번 시험관의 용액만 줄게 되며 나머지 시험관은 처음과 같은 상태이어야 한다.)
⑧ 시험관을 두른 종이를 벗겨 낸 다음 1번 시험관 용액의 높이(ℓ)를 자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주의 : 1번 시험관의 높이 측정을 잊지 않아야 한다.)
⑨ 위와 같은(6~8항) 방법으로 1번 시험관과 2, 3, 4, 5, 6번 시험관을 비교하고 1번 시험관의 높이를 기록한다.
4. Results (실험 결과)
1) 실험 결과
시험관 번호
색이 같아졌을 때의 1번 시험관의 높이(cm)
[FeSCN2+] 농도
1
2
3
4
5
6
2) 평형농도 및 평형상수 계산식
3) 평형농도 및 평형상수
시험관 번호
[Fe3+]
[SCN-]
[FeSCN2+]
K
1
2
3
4
5
6
5. Question (문제)
1) 사용하는 시험관의 지름이 동일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번 실험에서 색이 같아 질 때의 시험관에 들어있는 용액의 높이를 측정하여 평형농도와 평형상수를 구하게 된다. 시험관의 지름이 다르게 되면, 같은 높이의 시험관의 부피가 다르게 되므로 용액의 부피가 다르게 되며 또한 진하기가 달라지므로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게 된다.
2) 손으로 잡은 시험관이 체온에 의해 데워진다면 평형상수는 어떻게 되겠는가?
평형상수는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손으로 잡아서 시험관이 데워진다면, 1~6의 시험관 안의 온도가 각기 달라져 정확한 평형농도를 구할 수 없게 된다.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처음엔 어떻게 위에서 봤을 때 용액만 뺀다고 색깔이 연해질까 의심을 가지며 실험을 하였지만 빼면 뺄수록 색깔이 연해져서 무척이나 신기했었다. 실험 검사할 때
오광중교수님의 질문에 의해 그 이유를 알게되었다. FeSCN2+때문
7 References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인.
추천자료
기체 상수의 결정
화학실험-용해도곱상수
용해도곱 상수의 결정 예비보고서
재결정과거르기결과레포트
용해도 곱상수의 결정
가시광선 분광기를 이용한 약산의 해리상수 결정
기체상수의 결정
실험보고서 - 산, 염기 적정을 통해 적정곡선을 얻어 해석하는 방법, 이온화 상수 결정
물리화학실험보고서 - 평형 분배
6.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을 이용한 약산의 해리상수 결정법-예비
응용화공기초실험 -전위차적정 및 이온화 상수 결정
[화공실험] Batch reactor를 이용한 반응속도상수의 결정 예비 : 반응속도에 미치는 온도의 ...
기체상수의 결정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기체상수결정 예비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