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족지연과 자기통제의 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족지연과 자기통제의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만족지연과 자기통제의 발달

I. 강화하기

II. 이타적 모델 보여주기

III. 처벌과 유혹에 대한 저항력

IV. 자기통제 또는 만족지연의 발달을 촉진하는 방법
1. 금지된 행동을 재개념화시키는 방법
2. 자기지시적 방법
3. ‘도덕적’ 자기개념을 갖도록 훈련하는 방법

본문내용

동이 30초 동안 기다리기만
하면 사탕 하나를 주는 것이다. 계속 기다리는 한 아동은 사탕을 앞에
수북하게 모을 수 있다. 그러나 사탕을 먹고 싶어서 놀이를 중단하자고
말하는 순간 놀이는 끝난다. 아동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놀이했는데, 첫
집단에게는 규칙 이외의 아무런 지시도 하지 않았고, 둘째 집단에게는
사탕이 얼마나 맛있는가를 이야기해 주었으며, 셋째 집단에게는 "기다리
는 게 더 나아."라고 스스로 말하도록 했다. 그 결과 셋째 집단의 아동
이 놀이를 더 오래 지속하였다.
또한 1, 2학년 아동들은 기다리는 동안 어떤 것을 말하도록 지시하지
않았는데도 학령전 아동보다 놀이를 더 오래 했고 더 오래 기다렀다. 이
들은 사탕의 정적 특성으로부터 주의를 돌리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유혹에 더 잘 저항하였다. 반면 학령전 아동들은 누가 특별
히 일러주지 않는 한, 사탕에만 주목하기 때문에 꾹 참으면서 사탕을 모
으기보다는 찰리 놀이를 끝내고 먹으려 했다.
이와 같이 아동이 유혹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지침은
규칙을 지키고 즉각적 만족을 지연하는 능력에 분명히 영향을 준다. 그
리고 학령전 아동의 자기통제능력이 부족한 이유 중 하나는 이들이 즉각
적 충동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기지시를 자발적으로 생성하지 못
하기 때문이다.
(3) '도덕적' 자기개념을 갖도록 훈련하는 방법
귀인이론가들에 따르면 착한 행동을 하는 이유가 자기에게 있다고 생
각하는 아동은 그 이유가 외부에 있다고 생각하는 아동보다 더 도덕적이
라고 한다. 예컨대 "나는 원래 착한 아이니까 과자를 훔쳐 먹지 않아"라
고 생각하는(내적 귀인) 아동은 "엄마한테 들키면 혼나니까 훔쳐 먹으면
안 돼."라고 생각하는(외적 귀인)인 아동보다 자기통제력이 더 강하고 유혹에 더 잘 저항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감정과 행위에 대한 내적 귀인이
자기억제를 촉진한다면, 우리는 아동에게 자신이 착하고 정직한 사람이
라고 확신시킴으로써 도덕규칙에 더 잘 따르도록 가르칠 수 있을 것이
다. 정직함, 착함 등의 속성을 자기개념 내에 통합한 아동은 긍정적 자
기상에 따라 행동하려고 노력할 것이며, 만약 도덕규칙을 위반했을 때
큰 죄책감을 느낄 것이다.
분명히 도덕적 자기개념훈련은 아동의 자기상과 도덕적 행동에 바람
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Casey등(1982)은 7~10세 아동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게만 정직성을 강조하고 규칙에 따를 것을 계속 상기하도록 했다. 연구결과, 정직성을 강조한 집단의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더 정직하게 행동했다. Per 등(1980)에 의하면, "말을 잘 듣고 규칙을 잘 따른다."라고 일러준 9-10세 아동은 그런 지시를 듣지 않은 아동보다 잘못을 저지른 후의 행동이 매우 달랐다. 즉 이들은 스스로 상 받기를 포기하고 자청하여 지루한 과제를 함으로써 나쁜 행동을 보상하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도덕적 자기개념훈련은 유혹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며 위반행동을 했을 때 양심의 가책을 더 많이 느끼도록 하는 두 가지 기능을 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4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