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연을 잘 못했던 아이는 참을성이 없고 충동적이라고 하였다. 반면 만족지연을 잘했던 아이는 사회적 기술이 높고, 공부를 잘하고 자신 있고 자립적이라고 기술하였다(Shoda et al., 1990). 이와 같이 자기조절 기술과 자기통제는 아동이 발달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6.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기개념훈련은 유혹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며 위반행동을 했을 때 양심의 가책을 더 많이 느끼도록 하는 두 가지 기능을 한다. 만족지연과 자기통제의 발달
I. 강화하기
II. 이타적 모델 보여주기
III. 처벌과 유혹에 대한 저항력
IV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족지연 능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논문, 2008.
전은영, 만 5세 유아의 만족지연능력과 자기조절력에 따른 조망수용능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3.
최순영, 인간의 사회성격 발달 심리, 학지사, 2005.
하헤숙황매향, 청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3.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연 능력이 늘어나는 이유도 그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성숙할수록 자기 자신을 통제할 줄 알기 때문이다. 어른이 되어도 그러한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문제를 일으키기 마련이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만족지연 능력을 계속해서 발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24.0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달론, 양서원 2012
Fergus P. Hughes 저, 놀이와 아동발달, 시그마프레스 2012
정정옥, 김광자, 영유아 교사를 위한 최신 보유학 개론, 교육아카데미 2012 1. 자기이해의 발달
1) 자아개념
2) 자아존중감
3) 자기효능감
4) 자기통제
5)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