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검사] 아동검사의 선정 - 검사선정의 기준, 심리검사의 유형별 검사선정(투사검사-주관적 검사, 객관적 검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검사] 아동검사의 선정 - 검사선정의 기준, 심리검사의 유형별 검사선정(투사검사-주관적 검사, 객관적 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동검사] 아동검사의 선정

I. 검사 선정의 기준
1. 아동 문제와 관련성
2. 표준화, 타당도, 신뢰도에 대한 고려
3. 심리검사의 실용성 고려: 심리검사 유형별 장단점에 근거한 선택

II. 심리검사의 유형별 장단점을 고려한 검사 선정
1. 투사 검사(주관적 검사)
1) 장점
2) 문제점
2. 객관적 검사
1) 장점
2) 문제점

본문내용

나 앞으로 개발될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2/ 문제점
사회적 바람직성 : 문항의 내용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내용인가에 따라 문항
에 대한 응답 결과가 영향을 받는다. 피검자들은 문항 내용이 표면적으로 드
러나는 객관적 검사에서 바람직한 문항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하자면 내용에 따라 방어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반응 경향성 : 개인이 응답하는 방식 가운데 일정한 흐름이 있어서 이러한 반
응 방식에 따라 결과가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긍정적으로 일관되게 응답
하거나 아니면 부정적으로 일관되게 응답하는 개인의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
향성은 피검자의 순수한 반응에 오염변인으로 작용한다.
문항 내용의 제한성 : 객관적 검사문항이 특성 중심적 문항에 머무르기 때문
에 특정 상황에서의 특상상황 상호작용 내용이 밝혀지기 어렵다. 즉 특쌍상
황 상호작용 입장에서 성격 기술이 어렵고 사태 변인을 고려하는데 실패함으
로써 검사 결과가 지나치게 단순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문항 내용으로 행
동을 주로 다루는 한편 감정이나 신념을 문항으로 다루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투사적, 객관적 검사의 장단점을 제시하면서 Kline(1993)은 보완책으로 다
음과 같은 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투사 검사가 신뢰로운 성격검사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G분석을 제시
하고 있다. G분석에서 변인들은 1 혹은 0으로 이원적으로 채점되고 G지표를 사용
하여 피검자간 상관분석이 이루어지고 피검자간 상관 모형은 Q 요인분석을 통하여
집단 간 판별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자면 G분석은 투사 검사의 반응내용을 이원
적 자료로 채점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어떤 피검자
가 나무그림을 그리면서 종이 중앙에 나못잎이 달리고 꽃이 있고 열매가 있고 가
지가 있는 나무를 크게 그렸다고 하자. 그의 반응 내용은 나뭇잎, 꽃, 열매, 중앙 그림, 큰 그림 항목에서도 1로 분류한다. 이와 다르게 다른 피검자는 나무그림에서 나뭇잎이 없고 꽃이 없고 가지가 없는 나무를 그리면서 뿌리가 땅으로 뻗어 나오는 모습으로 그렀다고 하자. 이 경우 나뭇잎, 꽃, 열매, 가지항목에서는 0으로 분류되고 뿌리에서는 1로 분류된다. 이러한 G분석에 이어서 Q요인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집단 간 판별과 요인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객관적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문항 구성 방법, 반응 경향성을 줄이는 척도 구성의 방법 등을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투사 검사와 객관적 검사의 장단점을 살펴보았는데 현재 어떤 심리검사도 완벽한 상태는 아니며 각각의 장단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평가자가 이러한 점을 인식하고 검사 실시 및 해석과정에서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투사 검사와 객관적 검사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각 검사가 지니고 있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특히 주의할 점은 객관적 검사라 할지라도 평가자의 통찰력이나 경험에 따라서는 객관적 검사 이상의 기능 즉 투사 검사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객관적 검사인 지능검사에서 피검자의 반응 중 개인적인 독특한 반응이 드러날 때 이는 투사 검사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숙련된 평가자는 이러한 반응을 검사점수를 해석하는데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경험 있는 검사자라면 누구나 객관적인 검사와 투사 검사의 구별은 없다고 느낄 것이며 객관적 검사의 해석도 투사 검사의 경우에 못지않게 생활에 대한 예언적 가치가 있다고 느낄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평가 장면에서 객관적 검사를 사용하더라도 그 기능은 평가자의 경험에 따라 개인을 깊이 이해하는 도구로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5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