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문화의 융성과 국제성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당 문화의 융성과 국제성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동서 문화 교류의 장- 당나라>
<당의 대외 관계>
< 당대 외래문화와 외래 종교>
외래문화의 유행
(참고자료)

본문내용

에도 마니사를 세우는 것을 허가하였다. 요교와 경교는 후에 쇠퇴했으나 마니교는 여전히 강남지방에서 널리 유행했다.
4) 이슬람교
① 아랍인 마호멧이 창시했으며 당에서는 회교(回敎) 또는 회회교(回回敎)라고도 하고, 주로 강남의 광주 등지에 아랍인이 머물면서 중국인에게 전파하였다.
② 杜環(두환)이 아라비아에 10여 년 간 머물다가 귀국하여 저술한《경행기(經行記)》중에는 이슬람교의 종교상황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중국 최초의 이슬람에 대한 기록이다.
외래문화의 유행
① 외래종교의 유행은 종교사상은 물론이고 서역의 선진문물이 함께 중국에 전파되어 당의 문화발전에 큰 공을 남겼다. 그러나 당 후기 무종(武宗)의 불교탄압과 이교(異敎)금지로 큰 타격을 입고 점차 쇠퇴하였다.
② 서방의 예술과 풍습이 크게 유행하였다.
③ 당대의 외국음악은 십부악(十部樂)이라 하여 이 가운데 칠락(七樂)을 특히 서역칠조(西域七調)라고 하였으니 이는 서역음악을 말한다.
④ 음악과 함께 서역지방의 무용도 유행하였는데 이를 호선무(胡旋舞)라 하였다.
⑤ 여자의 화장법에도 서역풍이 유행하였다. 머리형은 퇴계(堆)형이라 하여 머리카락을 높이 올려 땋고 입술은 검지 연지를 발라 검게 하고 볼에는 혈흔장(血痕粧)이라 하여 연지를 반원 또는 원으로 칠하였다. 눈가에도 짙은 남청색 화장을 하였다.
⑥ 그림에도 당의 초기에 사마르칸드의 화가 강실타, 우전(于)의 위지을승(尉遲乙僧) 등이 유명하다. 특히 위지을승의 그림은 너무나 정묘 하여 신품(神品)이라 칭하였는데 오도현(吳道玄)의 산수화에도 일승이 전파한 요철화(凹凸畵)의 영향을 볼 수 있다.
⑦ 조각에는 당 태종(唐 太宗)의 소릉(昭陵) 현무문(玄武門)에 새긴 여섯 필의 말이 사산조 페르시아의 왕후의 승마 때와 같은 의장(意匠)이다. 이 밖에 당초문(唐草文), 수렵문(狩獵文), 연주문(蓮珠文) 등이 용문(龍門)의 석굴(石窟)과 호병(胡甁)칠기비단 등 공예품에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⑧ 한대 이래 서방에서 전파된 환인(幻人:마술사)이 행한 기술(寄術:마술)이 수당시대에 더욱 왕성하였다. 탄도(呑刀: 칼삼키기), 농환(弄丸: 여러 개의 공을 공중에 굴림), 토화(吐火: 입에서 불을 토함), 도인(屠人: 배 가르기) 등의 묘기가 대자은사(大慈恩寺)와 청룡사(靑龍寺) 등의 번화가에서 대중을 상대로 행하여졌다.
⑨ 그 밖의 놀이로는 각저(角: 씨름)닭싸움무마(舞馬) 등이 있고, 특히 페르시아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 타구(打毬: 말타고 치는 골프)는 唐玄宗도 즐길 정도로 상류사회에서 유행하였다.
⑩ 당나라에 들어온 서방문화는 중국의 전통문화와 융화되어 국제적이며 귀족적인 성당문화의 꽃을 피웠고 이는 중국에만 머물지 않고 다시 동아시아 각국으로 퍼져나가 신라일본발해월남 등의 문화발전에 자극을 주면서 동아시아 문화권을 완성하였다.
(참고자료)
허세욱, 중국문화개설, 법문사
이춘식, 중국사서설, 교보문고
여기시정, 중국사, 역민사
이종주, 중국문화개론, 동문선
애드윙 오 라이샤워, 동양문화사, 을유문화사 네이버 백과사전. 중국통사 등등.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