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용어 바로쓰기 독후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용어 바로쓰기 독후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삼게 되었다. 이후 남한의 모든 교과서는 반탁운동의 해석에 따라 1945년 이후의 정치과정을 해석했으며, 3상 협정안의 진실은 50년이 지난 최근에 이르러서야 밝혀지기 시작했다. 따라서 ‘찬반탁운동’은 잘못된 용어이며, ‘3상 협정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올바른 용어 사용이라 할 수 있겠다.
3. 결론
위의 사건은 어떻게 보면 한국민주당과 동아일보의 농간으로 좌익세력이 누명을 쓴 것이나 다름없다. 만약 국민들이 조금만 더 깊게 생각하고, 보다 비판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면 훗날 대한민국의 판도가 달라졌을 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으며 ‘찬탁’이라는 단 두 글자가 가진 힘을 보았다. 고의적으로 만들어진, 아주 짧고 간단한 용어였지만 이 말은 국민들의 인식 방향을 지배하기에 충분했다. 이는 정치적인 명제에 있어서는 그 어떤 분야에서보다도 위험한 일이다. 사람들은 ‘용어’ 하나의 힘에 의해 선동당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역사 용어를 사용할 때만큼은 당연하게 여겨질 만한 것이라도 신중하게 생각하는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2007, 155-160쪽.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6.03.21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7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