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론] 지역지상파방송 분포와 지역지상파방송사의 경영실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발전론] 지역지상파방송 분포와 지역지상파방송사의 경영실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역지상파방송 분포
2. 지역지상파방송사의 경영실태

참고문헌

본문내용

011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지역지상파방송사들은 대부분의 방송시간을 중앙방송사의 프로그램을 내보내고 있다. 지역지상파방송은 중앙에 의존하고 있으며, 중앙방송사에 예속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역지상파방송의 프로그램 편성이 중앙방송사 중심으로 되어 있기도 하지만 지역지상파가 제작해서 방송하는 프로그램의 질도 중앙의 프로그램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프로그램의 질을 가놈해 볼 수 있는 자체 제작비용은 2010년의 경우 MBC 본사가 933억 1,000만 원인 데 비해 19개 지역 MBC가 자체 제작에 들인 비용은 276억 2,000만 원으로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지역 MBC의 자체 제작비는 평균 약 14억 원에 불과했다. 지역민방과 가맹관계를 맺고 있는 SBS는 자체 프로그램 제작비용이 1,845억 1,000만 원이나 되는 반면에 지역 민영방송 10개사 자체 제작에 들인 비용은 349억 8,000여만 원으로 지역 민영방송 1개사 평균 약 35억 원에 불과했다. 지역방송사의 프로그램 연간 제작비가 중앙 방송사의 웬만한 드라마 한 편의 제작비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역지상파방송사의 이 같은 자체 제작비 규모는 전체 방송시간의 20~30%를 담당하면서 제대로 된 프로그램을 제작해 방송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다. 프로그램제작비는 그 프로그램의 질과 시청자들의 프로그램 시청률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지역지상파방송사들의 자체 프로그램 제작비는 중앙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로 인해 지역방송은 자체 제작 프로그램의 질적 저하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며, 이는 또 지역민들의 지역방송 프로그램 외면으로 이어져 지역방송사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일부 지역 시청자가 지역방송사 홈페이지의 게시판을 통해 제기한 "제발 보고 싶은 서울 프로그램 좀 보게 해 주세요”라는 항의성 댓글은 지역방송사의 자체 제작 프로그램이 지역민들로부터 얼마나 외면 받고 있는지를 대변해 주고 있다. 지역의 지상파방송사들이 프로그램 제작에 많은 비용을 투입할 수 없는 것은 지역 방송사들의 경영성과와 연계되어 있다.
참고문헌
함만봉 저, 지방자치발전론, 한국학술정보 2007
김용웅, 차미숙 외 저, 신 지역발전론, 한울아카데미 2014
정일환, 김정희 외 저, 사회발전과 인적자본론, 교육과학사 2013
강현수, 김석현 외 저, 지역균형발전론의 재구성, 사회평론 2013
이성근, 이관률 외 저, 지역개발론, 집현재 2012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3.30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88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