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특징
Ⅳ.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정책변화
Ⅴ.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문법과 문체
1. 문법
2. 문체
Ⅵ.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어휘
1. 방언에서 유래되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언어정책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Ⅲ.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의 특징
북한은 남한의 표준어와는 달리 \'문화어\'를 만들어 사용한다.(문화어: 김일성의 어록과 평양말을 토대로 하여 다듬은 것)
특징
한자어는 한글고유어로 대체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언어 수용 방안의 원칙에 대해 이성연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북한에서의 문화어 다듬기와 어휘정리 및 단어 만들기 사업은 어휘 변화를 가져왔고, 남북한 이질화의 원인도 되었다. 그러나 고유어를 말뿌리로 하는 단어 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언어 이름은 무엇이 되어야 할까? \'한국어\'와 \'조선말\'로 계속 나누어 부를 수는 없을 테니까 말이다.
〈참고 문헌〉
고영근(책임편집) .1989.《북한의 말과 글》. 을유 문화사.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1979.《조선문화어문법》. 평양.
교육부. 1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말을 오염시켰다고 생각하면, 언중(언중)들의 자정(자정)능력에 의하여 외면 당할 것이고, 정서적, 문화적 언어들은 통일국어로 수용될 것이다. 통일시대 언어의 수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남북한 어휘들은 직접 언어를 사용하게 될 통일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8.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