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향교 명륜당에 수장되었다. 그 후 1841년에 화재로 유실된 것을 광주 목사 조철영(趙撤永)이 중각(重刻)하면서 빠진 것을 다시 수습하여 모두 18편이 되었다. 현존 목판각은 1판 2면의 양면판으로 1판에 4면을 인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크기는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4.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향교의 강학공간은 동재(9.8평), 서재(12.3), 명륜당(37.6평)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비해 나주향교는 동재(11.5평), 서재(11.5평), 명륜당(57.5평)으로 광주향교에 비해 전체적으로 건물이 규모가 더 크게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나주목이 전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5.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륜당,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문묘, 유생이 거처하는
기숙사 등을 두었다.
성균관의 입학자격은 양반에 한하여 주어졌고, 양반자제라 하더라도 원칙적
으로 생원, 진사시험에 합격한 자라야 했지만 일부는 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1.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 향교 역시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 설치되었다.
향교에는 유생들이 학문을 배우는 공간으로서 강학장소인 명륜당이 맨 앞에 배치되고, 그 좌우로 지금 기숙사와 같이 유생들이 기거하며 공부하던 동재와 서재가 마주하고 있다. 명륜당 뒤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州에) 학(學)을 세워서 널리 도를 가르치라는 조서에 기인한다고 할 것이다.
향교의 제도는 공자를 제사하는 문선왕묘를 중심으로 하여, 강당으로서 명륜당이 설치되고 있으며, 교사는 조교라고 하였다. 의종 이후 국정이 문란하고 학제도
|
- 페이지 5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