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 ‘당연지리’(當然之理)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 어떤 이가 주자에게 ‘사물에는 소당연지칙이 있고, 또 반드시 소이연지고가 있음은 무엇 때문입니까?’라고 물으니, 그 관계에 대해 주자는 “어버이를 섬김에 마땅히 효도해야 하고, 형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자학과 양명학의 비교
중국 송대(宋代)에 일어난 새로운 경향의 유학인 주자학은 주돈이· 정호(程顥)· 정이· 장재(張載) 등에게서 비롯되어 주희(朱熹)가 집대성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한(漢)나라에서 당(唐)나라까지의 유학은 단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은 內的인 直觀에 의존하는 일시의 頓悟가 아니라 세간 속의 다양한 경계 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얻어지는 豁然貫通의 체험에서, 소이연의 이치를 더 잘 탐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주자는 “오직 오늘 하나의 사물을 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629-1703)에 이르러서는 탈성리학적 특징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는 주자학에서 주장한 “성즉리(性卽理)”의 이론을 거부하였다. 성은 보편적 원리로서 이와 일치하거나 이로 환원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인격인 마음(心)에서 인식되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은 性을 설명하는데 있어 우선적인 것이다. 즉 주자는 四端의 善함을 통해서 性이 善함을 말할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은 마치 물이 맑게 흐르는 것을 보고 그 근원이 반드시 맑다는 것을 알 수 있음과 같다는 것이다. 드러난 실마리인 情의 善함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