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북아정책에서 중국을 Main Target으로 해야 하는 이유
Ⅱ. 본론 - 경제, 군사, 공공이익,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 구상을 통한 국익 추구
<강성권력, Hard Power>
1. 경제적 이익 추구
2. 군사적이익
<연성권력, Soft Power>
3. 공공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보정책을 바탕으로 추진해야할 것이다.
참고 문헌
한국의 포괄적 안보전략과 다자간 안보협력 배정호
東아시아硏究論叢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11 331-337 [2000]
한국의 대북 안보전략 이석수
東北亞硏究論叢 Vol.5 No.1 115-134 [2000]
동북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외정책의 변화
1. 장기불황 성장잠재력의 약화와 지역적 경제통합의 강화
1) 장기불황
2) 지역적 무역 및 통화통합을 위한 노력
2. 대외군사·정치전략의 변화
1) 일미동맹 하에서의 일본의 군사대국화
2) 미일동맹의 보완을 위한 다자외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3.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과시와 변화 징후
3. 대북한 경제적 지원의 지속
4. 북중군사동맹조약의 유지
Ⅲ. 북한의 대중국 체제유지 정책 변화전망
1. 정치체제의 유사성 확보
2. 미중마찰의 적극 활용
3. 경제적 의존심화와 자율성 확보의 조화
Ⅳ. 결 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아는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가 각축하는 다극체제로 변할 수 있다. 대량살상무기의 확산도 상당 정도 이루어진 현실을 감안할 때 안보 불확실성의 정도 또한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다자주의적 안보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할 것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