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다. 그러나 그가 이 권징을 세우신 교회의 본질에는 말씀의 올바른 선포와 성례의 올바른 시행이 바르게만 된다면 그곳에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②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1560년 존 낙스의 주도로 종
|
|
![]() |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0.
이종성, 성령론,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현요한, 성령, 그 다양한 얼굴,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8.
다니엘 L.밀리오리, 장경철 역, 기독교 조직신학 개론,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1995.
레온 모
성령, 신약에 나타난 성령,
|
|
![]() |
한국 장로교의 자화상과 미래 (개혁주의 입장에서 비판과 대안)” 신학지남. 제58호 권4집. 1991/겨울
정문호, 「성경적 교회성장학」 (도서출판 햇불,1994)
정성구, 「칼빈의 생애와 사상」(세종문화사, 1980
김홍기, 세계기독교의 역사이야기, (예
|
|
![]() |
교회를 개척할 경우, 지교회는 기도소를 설치해 장로나 집사를 불문하고 그 지역에 속한 교인들로 하여금 기도소에서 집회를 갖도록 해 교회로 성장하도록 했다. 예배당을 건축할 경우는 시찰회와 노회가 이를 도왔다.
한국 교회가 개교회주
|
|
![]() |
b.선택
3).보편적 구속 혹은 일반적 속죄--- 만인구원(Universal Atonement)
a.보편성
b.조건성
4).가항적 은혜(Resistible Grace)
5).조건적 견인(堅忍), (Conditional Perseverance)
3.도르트 종교회의
4.결론
5.조원들의 생각정리
6.일정, 분담표
|
|
![]() |
한국민족에게 어떤 희망을 심어 주고자 했으리라. 이로부터 약 10년 후인 1930년대 초반 함석헌은 마침내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를 기술하기 시작했다.
조그만 시골벽촌 오산학교에서 함석헌은 민족애와 기독교정신을 호흡하며 그의
|
|
![]() |
한 의도 속에 있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칼빈의 종교개혁적인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한국 장로교회는 아직도 말씀과 성찬이 균형을 이루는 예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예배를 설교 하나만으로 대신하려 하고 있는 쯔빙글리의
|
|
![]() |
)의 권리보호운동
1. 1950년대 말 - 1970년대
2. 1980년대
3. 1990년대
Ⅶ. 동성애자(동성연애자)의 성교(섹스)
1. 호모 섹슈얼(게이) 의 항문성교
2. 레스비언의 sex
Ⅷ. 동성애자(동성연애자)의 교회수용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
|
![]() |
장로교회로 명명한 새 교단이 조직되었다. 역사적으로 미합중국 장로교회는 교단의 공식적인 선교부와 독립 선교부를 항상 인정해 왔고 총회는 개인들과 지교회들이 기부하는것은 자유라고 선언했다. 그러므로 1933년 조직된 장로교 독립 해
|
|
![]() |
한 연구-칼빈주의자를 중심하여”, 『고신대학교논문집』, 1978, Vol. 6.
박현, “키프리안, 어거스틴, 칼빈의 교회관”, 『정통신학』, 1권1집, 정통신학사, 1991
안인섭, “어거스틴과 칼빈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24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