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90(7),77 ~ 1992(2),98. 1. 정악(아악)의 분류
(1) 영상회상
(2) 가곡(歌曲)
(3) 가사(歌詞)
(4) 시조
2. 민속악의 분류
(1) 산조
(2) 시나위
(3) 무속음악(무악)
(4) 민요(民謠)
(5) 잡가(雜歌)
(6) 풍물(농악놀이)
(7) 판소리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성미
7. 서예의 구성 요소(미학)
1) 구성
2) 선
3) 농도
8. 추사 김정희(1786-1856)
9. 판본체(김충현, 현대)
10. 궁체(김충현, 현대)
11. 서각
1) 성명인
2) 아호인
3) 장서인
4) 수장인
5) 사구인
Ⅴ. 서예수업(서예교육, 서예영역지도)의 전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농악으로 흥을 돋우어 시위하는 놀이이다. 춤판은 양반춤으로 시작되는데 장단에 맞추어 양반답게 느릿하게 추고 있으면, 머슴들이 양반을 몰아내고 난쟁이, 중풍장이, 배불뚝이, 꼬부랑할미, 떨떨이, 문둥이, 곱추, 히줄대기, 봉사, 절름발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7.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래
2. 단오의 의미
3. 단오의 풍속(전통놀이)
1) 창포에 머리감기
2) 익모초 뜯어두기
3) 씨름과 그네뛰기
4) 강릉지방 단오굿
Ⅵ. 민족명절-백종일
Ⅶ. 민족명절-추석
1. 추석의 유래와 의의
2. 다례와 성묘
3. 민속 놀이
4. 우리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래하는 이 놀이는 '농신제', '작두 말타기'. '춤판', ' 뒷놀이' 등으로 순서가 진행되며 이 날의 상징적인 동물로서 용을 만들어 매달아 놓는다. 농신제는 농악을 울리며 잡귀를 막는 굿을 행하는 것이며, 작두 말타기는 마을의 머슴들 중에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6. 개선점
Ⅴ. 금산인삼축제의 개선방안
1. 농바우 끄시기 메인 프로그램으로의 업그레이드 방안
2. 산안 지게 놀이 업그레이드 방안
3. 탑제 및 디딜방아 놀이
4. 금산 좌도 농악을 이용한 거리 퍼레이드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성지며 격렬하게 떠는 음과 꺽는 음을 많이 사용한다( 진도 아리랑, 농부가, 강강술래 등)
⑸ 제주도- 가락의 흐름이 특이하며 특유의 방언을 사용하기도 한다(오돌또기, 해녀가 등)
⑹ 서도(평안도, 황해도)- 콧소리를 섞어 떨며 애수적이고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농악대의 전립대와 화관대의 전복을 입고 자루 달린 소고로 열채 장단을 두드리며 춤춘다. 참가인원에 제한이 없으며 상모를 돌리며 추기도 한다. 소고무는 수렵행위나 전쟁행위로부터 발생된 돌격무진과 포위 동작이 있어 군악으로도 쓰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래를 가지고 있다. 1980년 11월에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로 지 정되었으며, 범부춤, 양반춤의 하보경옹과 장고의 김 타업옹은 기능보유자(인간문화재)로 함께 등록되었다. 그리고 밀양민속보존협회에서 그 기능을 보존, 전승하 고 있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3.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래는 마을굿의 일종으로 먼 상고시대의 축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장군이 실존 인물이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때 여자로 가장하여 여원무(女圓舞)라는 춤을 추다가 넋을 잃고 구경하는 왜군을 일시에 찔러 물리쳤다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