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동에 반대하고 있었다. 결국 실천력 부족과 불신, 민중들의 현실을 생각하지 못한채 전개된 민립대학설립운동은 한계를 드러내며 실패했던 것이다. 盧榮澤, 「民立大學設立運動 硏究」,『국사관논총 제11호』, 국사편찬위원회, 1990년. 88쪽~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육운동의 논리와 전개」,연세대 교육대학원, 2001, 46~49쪽.
1925년에 문화운동 및 문예운동으로까지 표현되었던 민립대학설립운동은 성공하지 못하고 좌절하고 말았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면 첫째는 민립대학설립운동은 전민족적으로 전개되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운동 5-공산주의운동편, 국학자료원, 1980.
김정인, 1920년대 전반기 민족담론의 전개와 좌우투쟁, 역사와 현실 제39권, 한국역사연구회, 2001.
노영택, 민립대학 설립운동 연구, 한국사연구논선 37, 한국인문과학원, 1997.
박명규, 지식운동의 근대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개상황
1) 김홍집·이준용 내각(1894. 7. 27 - 12. 17)
2) 김홍집. 박영효 내각(1894. 12. 17 - 1895. 5. 21)
3) 박정양 내각(1895. 5. 31 - 8. 23)과 김홍집·유길준 내각(1895. 8. 24 - 1896. 2. 11)
6. 갑오개혁의 내용과 성과
1) 대외관계 : 반청반사대와 자주독립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족교육운동
1.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
2. 수업연한의 단축
3. 복선제의 도입
4. 직업과 교과의 도입
5. 교육여건악화 및 수업료 징수
6. 외국어학교와 성균관의 폐지
7. 실업기능교육의 실시
8. 국민학교령(1941)
9. 간이학교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