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893건

음의 편재를 알려줌. (2) 고대국어 시기 (신라어까지)의 된소리 계열은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국어에도 된소리 한자음은 극소수이다. 중국 중고음의 전탁음 계열이 동한음에서 평음으로 반영된 것과, 한자 차용표기에서 된소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자음체계는 물론 개별자음들에 대한 연구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일반논문들의 경우 먼저 한자음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들이 보였다. 권인한의 고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한 고찰-신라국호의 이표기 자료를 중심으로-는 고유명사의 이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음자를 자음자의 아래나 옆에 붙여 쓰도록 하였는데, 이는 초성과 중성, 종성을 한 음절 단위로 모아 쓰도록 한 규정이다.<표준어 규정>은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2부 표준 발음법으로 구성되어 있다.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은 1986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9.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자의 음가를 암시하여 주는 경우의 문자를 말한다. 중세국어의 표기법에서는 를 후행문자가 모음임을 표시하여 쓰는 정도의 간접문자가 있었지만 근대국어에 와서 이 간접문자의 기능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특히 자음 그 중에서도 어두 된소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음절삼분법(音節三分法)으로 국어의 특징을 반영한 규정 1.3 글자의 운용 (1)이어쓰기( 連書, 니쓰기) ‘ㅇ’을 순음(ㅁ, ㅂ, ㅍ, ㅃ) 아래 연서하면 순경음(, , , )이 된다. ‘’은 고유어 표기에 쓰이고, ‘, , ’은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 쓰
  • 페이지 62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2.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음으로의 발음도 허용 3.중부 방언의 경우, 2음절 이하에 오는ㅗ[o]를ㅜ[u]로 잘못 발음하는 경향도 있다. →어미-고, -고요를 [-구, -구요]로 발음 2.이중 모음(ㅢ)의 발음 1.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예>늴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음 해례>에서 합용병서 글자의 음가를 따로 설정하지 않았음. 따라서 각각의 글자대로 발음한 것으로 보아야 함. ㅄ계 합용병서 어두자음군 표기(ㅴ, ㅵ) 이>입때, >함께 → 17세기 된소리 또는 ‘ㅂ’계 합용병서로 합류 중성자 기본자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3. 국어가 계통적으로 알타이어인데 왜 여기에 속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가 4. 현대 국어가 고대 국어에서부터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5. 고대 국어의 문자체계 (차자표기법) 6. 고대 국어의 자료 7. 음운체계의 특징은 무엇인가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표기하려는 분철 의식이 뚜렷이 나타남 ◎ 음운 ● 된소리 ① 17세기 초엽의 문헌에 ‘ㅴ’, ‘ㅺ’, ‘ㅲ’의 혼동이 나타난 것은 ‘ㅄ’계, ‘ㅅ’계, ‘ㅂ’계가 구별되지 않았음을 말해줌 ② 17세기에 어두 자음군이 된소리가 되었으며 그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400원
  • 등록일 2009.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표기되는 것은 우리말의 두음법칙 때문이다. ② 疊韻語: 같은 韻-한자음에서 초성을 제외한 부분을 운이라고 한다-이 중첩되어 이루어진[韻母相同] 쌍음어. (例) 逍遙(소요), 窈窕(요조), 齷齪(악착), = (망량), 齬(서 어), (쵸료), 霹靂(벽력), 靺鞨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