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방법
① 압력강하와 공기유속의 보정 그래프를 그린다.
② 공탑의 부피를 계산하고 충진물을 채운 뒤에 물을 채워 물의 부피를 통해 Porosity를 측정한다.
③ 입자가 완전히 유동화 할 때까지 유속을 증가시키며 압력손실을 측정한다.
④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2.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동화에서는 층의 팽창이 식(2-32)에서 추산한 것보다 커지는데, 압력 강하가 부분적으로는 유체의 운동에너지에 따라 달라지므로 의 증가율을 상쇄하려면 의 증가가 커야 하기 때문이다. 팽창 자료는 Lewis 등이 제안한 실험식으로 상관시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1, 경남대학교 출판부, 283~288(1998).
● 이동춘., “유체역학.” 4, 희중당, 1(1998).
● 서광수., “유체역학.” 1, 문운당, 1(1997). [ 목 적 ]
[ 이 론 ]
1) 충전탑
2) 충전물
3) 충전층에서의 압력 강하
4) Dry packing에 대한 압력강하(△pd)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력 차는 서로 반대가 된다(그림 1-1). 유체의 속도가 더 증가하면 각 입자는 최종 침강속도보다 커져서 전 층이 위로 올라간다. 그러므로 유동층은 최소유동화속도와 입자의 침강속도사이에서 존재한다. Ⅰ. 실험 목적
Ⅱ. 실험 이론
Ⅲ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2.15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체의 밀도 (g/cm3)
L : 충전층의 높이
u : superficial or empty-tower velocity.
ε : 공극율
φ : 구형도(구일경우 φ = 1 )
Dp : 입자의 직경 (1mm)
ΔP : 충전층의 압력차
이론값
유동층일 경우,
실험값은 261mmH2O가 나왔으므로 오차율은
오차율
=
공탑속도구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