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율곡의 사상을 기본으로 삼는다면 더 큰 대한민국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서론
본론
제1장 군주의 길을 논하다
제3장 좋은 군주와 좋은 신하가 만나기 어려움에 대해 논하다.
제8장 간인의 판별이 용현의 요체임을 논하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4.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율곡 이이의 주요 저서로는 성학집요(聖學輯要), 격몽요결(擊蒙要訣), 경연일기(經筵日記), 동호문답(東湖問答), 만언봉사(萬言封事)등이 있다. 1.남명 조식(생애,사상,저서순)
2.퇴계 이황(생애,사상,저서순)
3.율곡 이이(생애,사상,저서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장되고 문묘에 종향되었으며, 파주의 자운서원(紫雲書院)과 강릉의 송담서원(松潭書院) 등 전국 20여 개 서원에 배향되었다. 1. 집필 목적
2. 저자 : 이이
3. 시대 : 조선
4. 해제
5. 책의 전반적 내용
6. 책의 세부적 내용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율곡 이이 선생이 ‘동호문답(東湖問答)’ 군도(君道)편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해 갈파한 말이다. 실정(失政)과 선정(善政)의 차이에 대한 이이 선생의 위와 같은 명쾌한 지적은 왕조시대의 임금에게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2.1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이(李珥)·유성룡(柳成龍) 등은 공물의 세목을 쌀로 통일하여 납부하도록 주장하였다. 특히 이이는 1569년(선조 2) 저서 《동호문답(東湖問答)》에서 대공수미법(貸貢收米法)을 건의하였으나 실시하지 못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