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말
2. 조선후기의 촌락조직과 촌락민문제
3. 사족의 동계ㆍ동약조직과 촌락민조직- 향도계ㆍ촌계ㆍ각계ㆍ소계ㆍ사계
4. 촌계류 촌락민조직의 기원과 계통
5. 조선후기 동계의 기능변화와 촌락민조직의 위상
6. 맺음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7.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 1-4, 1995 《한국역사입문》 1 2, 1996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2
한우근, 1961 《李朝後期의 社會와 思想》, 1983 《東學과 農民蜂起》
한영우, 1997 《朝鮮時代 身分史硏究》
향촌사회사연구회, 1990 《조선후기 향약연구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4.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문 헌 ♠
《조선후기 사회사연구》, 오영교 , 혜안 , 2005
《한국 역사상의 라이벌(송시열과 윤증)》 , 김갑동 , 신서원 ,1995 I. 서론
II. 본론
1. 붕당의 발단
2. 붕당의 전개
3. 붕당정치 전개의 원인
4. 붕당의 긍정적 측면
III. 나오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후기 서원연구와 향촌사회사, 한국사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1997
월쉬 - 역사철학 입문, 서광사, 1979
정만조 - 사족의 향촌지배와 서원의 발달,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91
한상권 - 16·17세기 향약의 기구와 성격, 진닥학보, 198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후기의 실학이다.
참고문헌
· 김항수(1994), 조선전기의 성리학, 한국사 8, 한길사
· 고영진(1996), 성리학의 연구와 보급, 한국사 28, 국사편찬위원회
· 고혜령(2001), 고려후기 사대부와 성리학 수용, 일조각
· 변동명(1995), 고려후기 성리학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